페이지상단으로이동

미래가치

[포스트 COVID-19 / 도시 ③] “로컬化 흐름 확연” “청년들은 왜 ‘강원美感’에 뛰어들고 있나”

송보희 (SD)| 2020.06.26

한종호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장이 말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도시 생활실험 (재)여시재는 2015년 설립 때부터 도시 문명의 위기를 핵심 연구과제로 설정, 위기의 다양한 양상과 배경, 해결방안 등을 모색해왔다. 이번 COVID-19...

[여시재 대화 / 송희경 전 국회의원] “젊은 산업인들이 국회와 정부 이미 뛰어넘어, 정치인들만 그 사실 몰라”

김민하 (SD)| 2020.06.18

IT 전문가 출신 20대 국회의원이 21대 국회에 하고 싶은 말 20대 국회는 탄핵 국회였다. 반면 이번 21대 국회는 COVID-19 국회다. 그 성격과 과제가 극명하게 다르다. 건널 수 있는 다리가 필요하다. (재)여시재는 이런 시대적...

[여시재 대화 / 이공현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 ‘대한민국은 民主 그리고 共和國’, 왜 공화국을 소극적으로 해석하는가?

최원정 (커뮤니케이션실장)| 2020.06.09

COVID-19로 재발견한 공공의 가치 COVID-19 사태는 우리에게 공공(公共)의 의미를 재각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공화국이라는 사실도 현실 속에서 돌아볼 수 있게...

[새로운 가치연구 ②] 이태원은 책임이 없다

김은환 (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20.06.07

코로나가 아니라 우리의 새로운 눈이 세상을 변화시킨다 이태원 거리 모습 (출처: 연합뉴스) (재)여시재는 작가이자 경영환경 전문가 김은환과 함께 대전환의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가치체계 연구를 진행해왔다....

[포스트 COVID-19 시대 / 新산업 ③ 드론] 고흥+진주+나주, 드론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 - 기술 수준 미·중의 65% 수준, 한국만의 차별적 기술과 제품 만들어야

여시재 드론산업연구팀 (책임 연구원: 송보희 SD), 공동저자: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사업단 단장), 강창봉 (항공안전기술원 드론안전본부 본부장), 윤광준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스마트드론연구소장)| 2020.06.02

(출처: DARPA) COVID-19는 세계를 넓고 깊게 바꿀 것이다. 한계에 봉착했던 한국의 산업에는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다. (재)여시재는 지난 1년여간 한국 경제가 나아가야 할 미래산업의 길을 찾기 위해 7차례의 공개 토론회와...

“무상급식도 처음엔 반대 많았다, 이제 月 30~65만 원 기본소득으로 가야”

이원재 (LAB2050 대표)| 2020.05.31

2025년 자유노동자 5억 4000만 명 시대 맞춰 시스템 재설계 필요 (출처: 뉴시스) 문명의 발전방향 단번에 뒤집은 COVID-19 COVID-19가 던지는 도전은 묵직하다. 누구나 알듯이 핵심 메시지는...

[여시재 대화 / 염재호 전 고려대학교 총장] “SKY 졸업장 10년 내 의미 없어질 것”

강동균 (SD)·이명호 (디지털플랫폼팀장)| 2020.05.26

21세기는 예고된 大전환의 시대, COVID-19는 촉매제일 뿐 염재호 전 고려대 총장은 한국 사회의 지적 리더이자 스타 프로페서다. 벌써 오래전부터 21세기 초가 문명사적 전환의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해왔다. 그것을...

[새로운 가치연구 ①] ‘능력주의’라는 이름의 새로운 신분제, 미래로 향한 길을 가로막고 있다

김은환 (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20.04.26

한국사회는 어디에 서 있는가 (재)여시재는 작가이자 경영환경 전문가 김은환과 함께 대전환의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가치체계 연구를 진행해왔다. 대전환은 손에 잡히거나 잡히지 않는 여러 곳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여시재 대화 / 과학사회학자 윤정로] “의학·과학 중심 범국가위원회 만들어 코로나 사태 대처해나가야”

이명호 (디지털플랫폼팀장) · 강동균 (SD)| 2020.03.26

전문지식이 신뢰받는 풍토 만들지 못하면 사회 전체 불행 과학(기술)사회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있다. 과학과 사회의 관계, 전문가의 사회적 역할을 파고들어가는 분야다. 바이러스가 사회 시스템 전체를 흔들어놓고 있는 코로나19...

[여시재 인사이트 / 교육] ① 하버드대 레이티 “뇌에 운동화를 신겨라”, ② 윌리엄메리대 김경희 “마음에 햇살을 비춰라” - 너무나 상식적인, 그러나 너무나 중요한 교육지침 2가지

최원정 SD| 2019.12.12

(사진 출처: Girls on the run 페이스북) 세상에는 너무나 상식적인, 그러나 너무나 중요한 것들이 있다. 어느덧 잊고 지나쳐버리지만 중요한 순간엔 꼭 세상의 중심으로 들어오는 것들이다. 교육은 어떨까....

[여시재 인사이트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3] 정부가 공공성으로 무장한 혁신가 집단이 되어야 - ‘정부 역할’ 점점 커지는데 그걸 감당할 공무원은 없다

김은환 (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1.18

(사진 출처: 중앙일보) 들어가는 글 축구를 회화에 비유해 보자. 반듯한 직사각형 구장은 캔버스, 저마다 개성을 지닌 선수들은 다양한 컬러의 물감, 그리고 선수들을 이끌고 다니는 공은 물감을 칠하는 붓이다....

[여시재 인사이트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2] 정부가 산업에 대해 무엇을 아느냐고? 그렇다면 기업은? - 시장에만 맡겨선 혁신 일어나지 않아, 정부의 역할 더 중요해지고 있다

김은환 (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1.06

들어가는 글 축구를 회화에 비유해 보자. 반듯한 직사각형 구장은 캔버스, 저마다 개성을 지닌 선수들은 다양한 컬러의 물감, 그리고 선수들을 이끌고 다니는 공은 물감을 칠하는 붓이다. 그렇다면 화가는 누구인가? 바로...

[여시재 인사이트 / 미래산업] 새로운 腸이 열리고 있다 - ‘건강은 대립적 요소들의 균형 상태’, ‘미생물의 우주’에서 동양과 서양이 만나다

이동우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2019.11.01

(재)여시재는 바이오-그린 헬스를 산업과 생태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보고 연구 활동을 지속해왔다. 지난 3~5월에는 관련 토론회도 열었다. 당시 토론회에 참여했던 연세대 이동우 교수가 인체 장(腸) 내 미생물의 세계에...

[여시재 인사이트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1] 정치 양극화 시대, 이념의 금기 깨뜨릴 정치 거장의 등장 기대한다 - 중국의 흑묘백묘, 빨갱이 비난받은 뉴딜정책, 케인즈의 혼합경제는 무엇을 말하는가

김은환 (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0.18

왼쪽부터 덩샤오핑, 케인즈, 루즈벨트 들어가는 글 축구를 회화에 비유해 보자. 반듯한 직사각형 구장은 캔버스, 저마다 개성을 지닌 선수들은 다양한 컬러의 물감, 그리고 선수들을 이끌고 다니는 공은 물감을 칠하는...

[여시재 대화] “과학기술 중시하는 이스라엘 정부 정책은 50년간 바뀌지 않았다” - 요즈마 그룹 에를리히 회장, 여시재서 젊은 기업가들과 대화

최원정| 2019.09.19

[여시재 대화] 과학기술 중시하는 이스라엘 정부 정책은 50년간 바뀌지 않았다 - 요즈마 그룹 에를리히 회장, 여시재서 젊은 기업가들과 대화 최원정 SD 이스라엘을 창업국가로 만든...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