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가치
이관호 (미래가치 SD)
2018.10.19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평등은 사실로 존재하는 가치인가, 아니면 당위의 가치인가? 표현을 이렇게 바꿀 수 있다. 인간은 본래 평등하기 때문에 평등해야 하는가, 아니면 불평등하기 때문에 평등해야 하는가? 두 진술 각각으로부터...
이우정
2018.10.12지난주 통계청이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로 환산한 자료를 내놓았다. 1인당(대부분은 여성) 하루 평균 2시간 15분씩 일해서 연간 710만여 원(2014년)의 가치를 생산한다는 내용이다. 2014년 기준 최저임금의 약 2배 수준이며, 우리...
관리자
2018.09.21영화 설국열차 속에서 최고의 가치는 엔진이다. 열차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은 엔진은 신성하며, 기차의 맨 앞칸에서 엔진을 조종하는 월포드는 위대하다고 세뇌당한다. 새로 찾아온 빙하기, 열차 안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새로운...
관리자
2018.09.202018년은 환경위기 실감의 해라고 기록될만한 해였다. 봄 미세먼지, 여름 폭염은 유례없을 정도로 강력했다. 사람들은 올 겨울에 역대급 한파가 올지 모른다고 걱정한다. 뿐인가. 지난 봄엔 재활용 대란도 있었다. 이제 시작에 불과하지만...
이관호 (SD)
2018.09.07안나 카레니나가 스마트폰을 꺼내 들고 남편 카레닌 곁에 머물러야 할지, 돌진해 오는 브론스키 백작과 달아나야 할지 페이스북 알고리즘에 묻는 장면을 상상해보십시오. 디지털 시대를 맞아 인간은 의사결정의 자유를 AI에게 양도할...
관리자
2018.09.07요즘 태양광 발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전기요금 걱정 때문에 가정용 태양광 제품이 인기 있다는 소식1)부터 서울시가 실시한 자치구 디자인 태양광 경진대회에서 강동구청의 디자인이 최우수상과 함께 상금 5억 원을...
임선우
2018.08.30삼권분립과 대의제 민주주의, 정당정치와 다수결 원칙을 근간으로 하는 현재의 정치시스템은 나이가 무려 300살이다. 17~18세기에 구축돼 글로벌 스탠더드가 된지 오래다. 300년을 지탱해왔다는 것은 대중의 의사를 정치에 반영하는...
이관호 (SD)
2018.08.23기본소득은 인간의 자유를 위한 것 한 사회의 모든 성원 개개인들에게, 다른 소득의 원천이 있든 없든, 아무 조건도 내걸지 않고, 현금의 형태로, 그것도 정규적으로 소득을 지급하는 것. 벨기에 출신 정치철학자 필리프...
김도년
2017.12.11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정서은
2017.09.21혁신을 키우기 위한 정책제안 프로젝트 연구팀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의제를 구체화 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전문가 인터뷰 시리즈, 마지막 인터뷰이는 산업연구원의 양현봉 선임연구위원입니다....
정서은
2017.06.28참석자: 청년유니온(김영민 정책팀장), 한국청년유권자연맹(김미진 사무총장, 복금희 교육부장), 청년참여연대(이조은 사무국장, 조희원 간사), 흙수저당(송명숙 정책팀장),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하준태 기획실장, 이택준), KYC(최융선...
서용석
2017.05.22지난 4월 7일 여시재에서는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미국 하와이대학의 Jim Dator 명예교수를 초청해 21세기를 위한 거버넌스 디자인(Designing Governance for the 21st Century)과 한국경제의 미래: 지속 성장 또는 보존사회? (Futures of...
서용석
2017.03.07김경동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지난 2월 28일 여시재에서는 한국 사회학계의 원로학자인 김경동 서울대 명예교수를 초청해 미래 신문명과 유교문화의 의의: 문명사적 성찰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