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의 변화
김민하 (SD)
2020.06.11여시재와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UN SDSN)는 지난 5월 26일 팬데믹 시대의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했다. 본 세미나는 COVID-19 이후 부각된 지속 불가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에의 도전과...
윤준영 (SD)
2020.05.21한국이 주도할 수 있다 (자문) 윤상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최경진 가천대학교 법대 교수 김원준 리더스 특허법률사무소 대표 WHO 총회 모습 (출처: 로이터) 백신이 나와도 최고...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전 KB증권 사장)
2020.05.19Reshoring Only 아닌 最適 재배치 전략으로 가야 보령제약이 지난해 준공한 충남 예산 소재의 생산단지. 생산, 포장에서 배송까지 자동제어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스마트팩토리다. (출처: 한국경제매거진) ...
이태호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2020.05.17콩·옥수수 등 사료 곡물 안정적 확보가 관건 14세기 유럽의 흑사병 세계 농업 시스템에 오늘날까지도 영향 COVID-19의 위협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다. 전문가들은 치료약이나...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사업단장)
2020.05.06COVID-19로 재편 불가피,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 오고 있다 COVID-19의 여파로 텅 빈 인천국제공항의 모습 (출처: 연합뉴스) 전 세계 비행기 운행 건수 한 달 만에 3분의 1로 축소 COVID-19의...
여시재
2020.05.06여시재와 에너지경제신문은 지난 4월 29일 서울시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금융의 위기와기회를 주제로 2020 금융CEO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포럼은 COVID19 이후 산업 패러다임의 대전환기를 맞아 한국 금융산업이 처한 현실을...
정주영 (경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2020.04.22관세율 19% P 낮추고 교역량 33% P 끌어올린 WTO 체제 미·중 분쟁으로 1차 손상, 코로나19로 복합 위기 맞아 (출처: WTO 홈페이지) WTO와 죄수의 딜레마 사회적 갈등 상황을 분석하는 데 자주...
이용욱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20.04.20(재)여시재는 3년째 이어지고 있는 미-중 무역분쟁이 미칠 세계적 수준의 정치·경제적 파장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에게 어떤 과제를 던질 것인지를 전망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전망 연구팀을 구성해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이용욱...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20.04.12필자 김규판은 연세대를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일본팀장, 선진경제실장 등을 거쳐 현재 선임연구위원으로 있다. 전문 분야는 일본 경제와...
이대식 (여시재 도시솔루션실장)
2020.04.08미·러·사우디 원유 치킨게임 배경엔 석유산업에 대한 종말론적 위기감 1985년 사우디 4배 증산, 소련 200억 달러 손실로 체제 와해의 길에 들어서 2014~2016년 치킨게임, 베네수엘라가 최대 희생자 당장 현금이 필요한...
안치영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원장)
2020.04.05黨 초기대응 실패가 중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 둑 무너뜨려 많은 사람 살리는 방법 어쩔 수 없다 받아들여 베이징 천안문 광장 모습 필자 안치영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학사),...
최원정 (커뮤니케이션팀장) · 이윤서 (SD)
2020.03.31지금이야말로 거품 걷어내고 혁신투자 집중할 적기 왼쪽부터 홍윤철 서울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김원수 여시재 국제자문위원장, 김희수 KT경영경제연구소장,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 코로나19는 언제, 어떤 형태로...
정리 최원정 (커뮤니케이션팀장) · 이윤서 (SD)
2020.03.30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새로운 일상 준비해야 할때 왼쪽부터 홍윤철 서울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김원수 여시재 국제자문위원장, 김희수 KT경영경제연구소장,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 코로나19는 언제, 어떤 형태로...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3.27필자 황세희 실장은 연세대(학사·석사)를 마치고 일본 게이오대에서 2012년 법학 박사학위를 받은 일본 전문가다. 전공분야는 일본 외교, 미일 동맹, 동아시아 안전보장, 해양 안전보장이다. 박사과정을 밟던 기간에 일본...
가와시마 신 (川島真, 도쿄대 교수)
2020.02.23국제정치는 국제연합 중시, 국제경제는 자유주의 옹호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변화 미중관계의 미래에 대한 수많은 세미나와 심포지엄, 비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