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보고서

‘HOME’, 미래의 문명을 바꾸다 - 시·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생산과 생활의 플랫폼’, 포스코경영연구원 보고서 공개

관리자| 2019.03.08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문명적 총아다. 디지털 혁명은 인구밀집형 대도시의 강점을 상실케 하고 데이터 밀집형 소규모 스마트도시로의 재편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스마트홈으로 교육과 의료가 들어오고 그 자체가 생산...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5 인터넷, 대중의 미래를 열다 - 전문가로부터 ‘지식 권력’을 빼앗다

이명호 SD| 2019.02.15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5 인터넷, 대중의 미래를 열다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링크)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중국의 변화 ④] 여시재-성균중국연구소 공동연구, 중국은 왜 AI에 높은 관심을 보이나? - 시진핑 “AI는 국제정치에 심대한 영향” “관건은 핵심기술장악”

성균중국연구소| 2019.02.08

AI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관심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국제정치와 글로벌 밸류 체인 판도를 일거에 바꿀 게임 체인저로 AI를 지목했다. 미국 등과의 미래 경쟁의 중심에도 AI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여시재는 지금] ‘중국의 변화’ 보고서 1 완성

성균중국연구소| 2019.01.31

새로운 국력 평가 지표가 필요하다 - 하드파워 소프트파워 평가로는 중국은 미국 못따라가 -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미래를 설계하는 권력 평가기법 개발해야 미국과 중국의 무역-지식재산권 분쟁이 혼조를 거듭하고 있다....

[중국의 변화 ③] 미국은 여전히 혁신기술 생산지, 중국은 여전히 종속적 위치 - ‘중국제조2025’를 둘러싼 미국의 공격과 중국의 방어

성균중국연구소| 2019.01.22

권력(power)은 오래전부터 국제정치학의 핵심개념이었다. 특히 2차 세계대전 후 한동안 주류이론의 패러다임이었던 현실주의는 국제정치의 중심행위자인 국가의 목표를 생존으로 상정했기 때문에 생존수단인 권력을 중시해왔다. 이...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4 디지털은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시간의 단축, 공간의 확장, 폭발적으로 진행될 것”

이명호 SD| 2019.01.22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4 디지털은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계산기에서 시작한 컴퓨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을 거쳐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디지털이라고...

[중국의 변화 ②] 시진핑의 올해 키워드는 ‘臥薪嘗膽’ - 미국 의식 ‘애국심’ 강조한 중국 주석 신년사 분석

성균중국연구소| 2019.01.11

작년이 중국 개혁개방 40년 되는 해였다면 올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0주년이 되는 해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 입장에서는 의미가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경제 경착륙 우려가 커지고 대외적으로는 무역, 남중국해,...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산업사회 “인쇄술이 가져온 지식혁명, 엔진이 가져온 생산혁명” - 전 세계 1인당 평균소득 1800년 동안 50% 증가, 마지막 200년 동안 900% 증가

이명호 SD| 2019.01.11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산업사회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링크)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2 변화의 동력, 지식패러다임의 변화 “활판인쇄 → 디지털, 600년만의 文明전환”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2.20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2 변화의 동력, 지식패러다임의 변화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링크)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 “300년 전 라이프니츠에서 현대 AI까지” - 디지털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도의 지식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2.13

여시재 e-핸드북 발신을 시작합니다. 여시재가 e-핸드북 제작을 시작합니다. e-핸드북은 10회 안팎의 연재물을 통해 해당 이슈에 대한 종합적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재물을 모두 모으면 하나의 e-핸드북이,...

[중국의 변화 ①] 미중 에너지 패권 전쟁이 다가오고 있다

성균중국연구소| 2018.12.07

(재)여시재는 성균중국연구소와 함께 현재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향후 미-중관계의 향방을 검토하는 중국의 변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연구 결과를 앞으로 매월 2편의 인사이트 칼럼과 1편의 연구보고서 형태로 독자들과...

2018년판 자연 에너지 세계 백서: 자연에너지 발전의 비약적인 증가세 뚜렷

황세희| 2018.07.27

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이슈리포트]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의 가능성: 도시 대 도시, 에너지, 금융

한일공동연구 - 재단법인 여시재 / 일본 아시아 성장 연구소| 2018.06.29

프로젝트: 2017 한일공동연구 자료 형식: 이슈리포트 제목: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의 가능성: 도시 대 도시, 에너지, 금융 저자: 재단법인 여시재, 아시아성장연구소 (일본) 언어: 요약문 - 한일영 버전, 본문 - 영어 버전 여시재는...

[이슈브리프] 러시아 농업의 비상(飛上): ‘미운 오리새끼’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성원용 (인천대)| 2018.02.2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농업 정책 (3) 러시아 - 러시아 농업의 비상(飛上): 미운 오리새끼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저자: 성원용 (인천대) No.2017-070 여시재는 국내 5대...

[이슈브리프 특별판] 러시아의 해양 정책: 21세기 해양강국으로 부활?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01.30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해양정책 (2) 러시아 - 러시아의 해양 정책: 21세기 해양강국으로 부활? 저자: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011 여시재는 국내 5대...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