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동북아협력

[여시재는 지금] ‘에너지 지정학’ 보고서 3│미-러, ‘21세기 에너지벨트’ 100년 주도권 놓고 각축 - 중국도 ‘북극 강대국’ 선언, 갈등의 波高 높아질 것

김연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22

(재)여시재와 한양대 김연규 교수(산자부 해외자원개발혁신TF 가스분과 위원장)는 21세기 들어 글로벌 에너지 수요-공급 질서가 근본부터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그 영향이 동북아, 특히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연구해왔다. 그...

[동북아 새 책] 4개국 신간 소개 - ‘심천 기적’ 등

관리자| 2019.05.10

(재)여시재가 미-중-일-러 4개국 신간 안내를 시작합니다. 4개국 주요 언론에 실린 신간 중에서 우리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을 선별해 2주에 1번꼴로 소개합니다. 4개국은 한국과 한반도 운명을 좌우할만한 나라들입니다. 그들의 관심사에...

[여시재는 지금] ‘에너지 지정학’ 보고서 2 / 21세기|중동 석유의 시대가 저물고 美-러시아 천연가스의 시대가 오고 있다 - ‘석유-달러 체제’를 ‘가스-달러 체제’로 바꿀 수 있느냐가 美패권 유지 좌우

김연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09

미 태평양 함대 사진과 중국 항공모함 20세기는 미국의 석유-달러 패권이 창출되고 유지되고 공고해지던 시대였다. 미국은 IMF와 세계은행을 통해 달러 기축통화 체제를 구축한 데 이어 1975년 사우디와 페트로(석유)-달러 협약을...

[여시재는 지금] ‘에너지 지정학’ 보고서 1 / 20세기|변화하는 ‘미국 주도 에너지 패권 질서’ 동북아에 기회인가, 위기인가 - 중동의 전략적 가치 하락, 동북아 패권 구도 재편 이미 시작됐다

김연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03

1974년 6월,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 시리아 전쟁,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 중국의 일대일로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 전략…. 최근 일어나고 있는 국제정치 대사건들의 저변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나비프로젝트] 미국 패권의 3가지 비밀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9.05.03

여시재 나비프로젝트 미국 패권의 세 가지 비밀: 에너지, 제조업,...

[시사 인사이트] 에너지 전환, 100년 만에 찾아온 동북아의 기회이자 위기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1.30

2010년 이후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으로 미국과의 세계 패권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문제를 관찰하는 데 있어 무역분쟁 등 현재 벌어지는 상황도 중요하지만 지난 50~60년간 미국의 힘과 패권 유지의 주요 동력이...

[여시재는 지금] “동북아 ‘초국가 에너지망’ 구축 본격화할 때 됐다” - 여시재 주최 포럼서 각국 전문가들 제기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11.20

남-북-중-일-러와 몽골 6개국을 포괄하는 초국가적 동북아 에너지망 구축 논의를 본격화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국제포럼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석탄과 철강이 EU 통합의 매개가 된 것처럼 동북아 지역에선 전력망과 가스라인이 그 역할을...

[시사 인사이트] 러-중의 프리모리예 프로젝트는 달릴 수 있을까

관리자| 2018.09.07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 3차 남북정상회담 일정이 9월 18~20일로 확정됨으로써 남북 관계 개선을 다시 한번 기대하게 되었다. 남북 관계는 비핵화와 떼려야 뗄 수 없다. 그럼에도 비핵화의 종속변수인 것만도 아니다. 우리...

[시사 인사이트] ‘동북아의 전력’이 ‘유럽의 석탄’ 될 수 있을까 - 러-중-일 3국 정상 참석하는 4회 러시아 ‘동방경제포럼’

이대식| 2018.08.30

9월 11일에서 13일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동방경제포럼이 열린다. 동방경제포럼은 아시아 태평양 주요국 간의 협력을 통해 낙후한 러시아 극동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2015년 푸틴 대통령이 창설했다. 매년 블라디보스톡에서 개최되는...

한일간 국제 송전망, 2조원이면 건설 가능

황세희| 2018.07.11

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이슈리포트]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의 가능성: 도시 대 도시, 에너지, 금융

한일공동연구 - 재단법인 여시재 / 일본 아시아 성장 연구소| 2018.06.29

프로젝트: 2017 한일공동연구 자료 형식: 이슈리포트 제목: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의 가능성: 도시 대 도시, 에너지, 금융 저자: 재단법인 여시재, 아시아성장연구소 (일본) 언어: 요약문 - 한일영 버전, 본문 - 영어 버전 여시재는...

러시아, 북극항로 운항 선박을 러시아 생산선박으로 제한하는 법안 추진 중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04.27

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연구...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 “여시재의 나비 프로젝트는 러시아에도 유익”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03.09

여시재 포럼에 참석한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산하 석유-천연가스문제 연구소 부소장 핵심 내용 - 러시아에서 존경 받는 에너지 전문가인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가 2017 여시재...

러시아와 동북아 국가 간 에너지 협력, 혁신적인 전환의 가능성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03.06

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연구...

아키야마 마사히로 대표 “북한 문제에서 군사 옵션을 배제하라. 일본은 방위체제를 완벽히 하고 대화의 이니셔티브를 잡아야.”

황세희, 아키야마 마사히로 秋山昌廣| 2018.02.09

북한 문제해결을 위해 군사옵션을 배제하고 대화를 추구해야 한다. 일본의 안보전문가가 아베 정권의 대북 접근법을 비판하여 주목받고 있다. 아키야마 마사히로(아키야마 어소시에이츠 대표)는 아사히 신문 WEB RONZA에서 북한의...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