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 제목 | 작성일 |
---|---|---|
코리아타임스 |
Korean politics for diplomacy: recipe for doom or boom?
The 2022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s around the corner, with less than a month to go. Korea watchers around the world are anxiously awaiting its outcome, with many apprehensive of the potential fallouts on South Korea's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
2022.02.14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교수노조 생기는 대학, 교수 정년보장 없애는 대학
노조 설립해 임금·인사 개입하는 교수들 자기 권익보다 희생 수용 전통 사라져 美 조지아, 교수정년 불인정해 경쟁 유도 급변하는 세계대학 속 우린 어디에 있나 |
2022.02.03 |
코리아타임스 |
2022: year of hyper-uncertainty in global security
The new year has started with the COVID-19 pandemic still hanging over our heads. On top of that, clouds of hyper-uncertainty are gathering over the global security horizon. |
2022.01.17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 새 정부가 다시 새겨야 할 교육의 가치
새 대통령은 먼 미래 조망해야 교육이 30년 뒤 대한민국 결정할 것 개인 특성과 다양성이 절대 가치인 시대 지금 수능으론 창의력 배양 어려워 |
2021.12.30 |
코리아타임스 |
Emerging global (dis)order: Quo vadis ordo?
The order among the nations, or more realistically the balance of power among major powers is undergoing tectonic shifts. At its heart lies the fast rise of China relative to the United States. While there has been much debate in the expert community on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will lead to a new Cold War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no consensual view has emerged as yet. |
2021.12.22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 피, 땀 그리고 눈물… 처칠과 BTS
전쟁 공포에서 국민 단결시킨 처칠 생명 거는 지도자 희생이 승전 이끌어 평화는 힘 있을 경우에만 누리는 특권 국방부터 문화까지 진력하는 지도자 필요 人和 위해 다른 의견에 적대감 갖지 말아야 |
2021.12.02 |
코리아타임스 |
US-China virtual summit: welcome restart of bumpy journey ahead
The overdue summit between the two leaders of the two most powerful state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inally took place, though virtually. This was the first "in-person" meeting in 10 months following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Joe Biden in the U.S. In the meantime, almost all channels of dialogu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een virtually frozen. |
2021.11.23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 정부와 사회로부터 버림받은 한국의 대학
하버드대의 1% 남짓한 서울대 적립기금 등록금 동결 속 대학교육 퇴보 우려되지만 대선 후보들에게 관심 못 받는 대학교육 논문표절 부정행위에 머뭇거리다 신뢰 잃어 뼈 깎는 자기혁신으로 존경받는 대학 만들어야 |
2021.11.23 |
코리아타임스 |
Uniting South Korea is key
Volatility in the strategic eq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recently risen.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the volatility largely stems from the growing anxiety over a prolonged stalemate in North Korea's dialogue with the United States. It remains uncertain at this time whether the North will choose tension or rapprochement to break the stalemate. |
2021.10.26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 세종대왕께서 오늘의 한글 세상에 다시 오시면
혁명적 발명인 약 600년 전 한글 창제 조선 지배층 한문 사용에 존재감 잃기도 느낌마저 쉽게 전달하는 건 한글 사용 덕분 |
2021.10.18 |
코리아타임스 |
The Olympics: triple salvation and agenda for peace
The Tokyo 2020 Olympics and Paralympics were finally held during this past summer. Under the cloud cast by the COVID-19 pandemic, there was uncertainty until the last minute. Eventually the decision was taken to proceed with the Games but without spectators, something that was unprecedented. |
2021.09.30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 다른 편엔 귀 닫은, ‘개방적’ 대선캠프
대통령, 국민 아우르는 화합의 리더십이 중요 후보별 전문가 집단, 이념 편향성 뚜렷 집권 후 논공행상식 인사가 폐쇄성 강화 선거캠프 때부터 다른 의견에 귀 기울여야 |
2021.09.09 |
중앙일보 |
[염재호 칼럼] 머리로 싸우는 전쟁과 탈피오트의 교훈
2001년 9·11사태를 계기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미국이 철수를 단행했다. 1975년 베트남전 패전으로 사이공 미 대사관 헬기 탈출의 치욕적인 악몽이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재현되었다. 1955년부터 20년간 이어진 전쟁의 패배로 베트남이 사회주의 정권이 된 것처럼 아프가니스탄도 미군 철수로 20년 만에 탈레반이 정권을 탈환했다. |
2021.09.08 |
코리아타임스 |
Double deja vu of Afghanistan with volatile future
Afghanistan fell again into the hands of the Taliban, "the day after" the withdrawal of the United States troops began in a manner so abrupt and fast. The speed of the government collapse and ensuing shocks betrayed not only popular expectations of the outside world but also the analysis by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 But from a longer perspective, it does not look like anything new to Afghanistan. It comes as a double deja vu. |
2021.08.30 |
코리아타임스 |
Untying Gordian knot on Korean Peninsula
Last week South and North Korea resumed operation of cross-border hot lines. The move came as a pleasant surprise after the North unilaterally severed them over a year ago. It was likely intended by Pyongyang as an initial response to the policy review performed by th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following summit between the presidents of the U.S. and South Korea. |
2021.08.17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 올림픽만큼 소중한 중고등학교 스포츠 교육
선수들의 올림픽 활약은 국민통합에 기여 중고교까지 엘리트 영역인 韓 스포츠교육 단체 스포츠 경험은 큰 교육적 의미 체력 기르고 규칙 존중하고 배려 체득 수능 치중 벗어난 스포츠 프로그램 필요 |
2021.08.17 |
중앙일보 |
[염재호 칼럼] 기업법인에서 기업시민으로
인류는 21세기에 문명사를 새로 써내려가고 있다. 젊은이들 사이에 e스포츠가 전통적 스포츠를 앞지르는 인기를 끌고, 가상공간인 메타버스에서 가상건물의 부동산 거래가 이루어지고,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투자에 광적으로 뛰어든다. 가상인간 모델이 멋진 춤을 추는 광고에 팬덤 현상을 보이고, 대면의 만남보다 SNS 소통을 더 선호하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자신의 일상을 일기처럼 적어나가며 공개한다. 농경사회 정착민의 안정된 삶보다 떠돌며 사는 집시나 유목민의 삶을 동경하며 결혼과 자녀 양육 대신 욜로(YOLO, You Only Live Once)를 즐긴다. [출처: 중앙일보] [염재호 칼럼] 기업법인에서 기업시민으로 |
2021.08.17 |
동아일보 |
[김도연 칼럼] 디지털시대 도시의 새 패러다임 만들기
1년 반 넘게 지속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또다시 기승이다. 성인 90%가 이미 백신 1차 접종을 마친 영국에서도 하루 확진자가 3만 명을 훌쩍 넘고 있으니 우리처럼 접종 실적이 한참 못 미치는 사회에서는 거리 두기 강화를 피할 수 없다. 흩어져야 안전한 세상이다. 코로나19가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호흡기 질환인 만큼 많은 사람이 모여 사는 도시는 바이러스의 온상이라고 할 수 있다. |
2021.07.19 |
코리아타임스 |
Getting Multilateralism 4.0 right
The allied powers victorious in World War II, led by the United States, created the United Nations as a universal institution with three objectives: stable pea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niversal human rights. The inter-linkage of these objectives, as well as the scale and intensity of the tasks they involve, make clear that they cannot be met by any single country no matter how powerful it is. |
2021.07.19 |
중앙일보 |
[염재호 칼럼] 새 대통령은 엽관제 철폐부터
1881년 7월 2일 미국의 20대 대통령 제임스 가필드는 찰스 귀토라는 청년이 쏜 두 발의 총탄에 쓰러졌다. 워싱턴 볼티모어 포토맥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다 벌어진 일이다.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지만 2개월 후 수술 후유증인 패혈증으로 사망하여 6개월의 짧은 대통령 임기를 마쳤다. 16대 링컨, 25대 매킨리, 35대 케네디와 함께 암살된 역대 미국대통령 네 명 중 한 명으로 기록되었다. [출처: 중앙일보] [염재호 칼럼] 새 대통령은 엽관제 철폐부터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