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 제안 / 미래산업] 벤처기업 전문 투자은행을 설립하자 - ‘실리콘밸리은행’의 혁신성 깊이 연구해야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위원/전 KB증권 사장)| 2020.01.30

혁신기업 육성이 고용과 성장 두 마리 토끼 잡는 열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물론 유럽 선진국들은 혁신기업의 육성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고성장하는 혁신기업이 일자리와 성장을 모두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여시재 e핸드북 / 질병과 의료에 대한 쉬운 지식 ①] 질병은 어떻게 탄생하고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 고대 도시 키운 交易路가 전염병도 옮겨, AD 165년 ‘안토니우스 역병’으로 로마제국 6만~7,000만 명 사망

여시재 미래의료 연구팀, 대표 저자 홍윤철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서울대 공공의료사업단장)| 2020.01.26

죽음의 승리 피터르 브뤼헐(1525~1569) (재)여시재가 2019년 한해 진행했던 연구 결과물 발신을 시작합니다. 미래의료 중국의 변화 도시순환과 황해오염 디지털이 바꾸는 세상 등 다양한 분야입니다. 그 첫 번째로...

[日의 對中 인식 ②] “중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 해결이 시급”

다나카 오사무 (田中 修, 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경제연구소 상석주임연구원), 감수∙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 2020.01.17

중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 시급히 해결해야 공포 대상 국가에서 존경받는 국가로 전환해야 고령화 속도로 볼 때 남은 시간 많지 않아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 변동 / 이란 사태] 미국은 이란 공격을 통해 무엇을 노리나? - 20년 전 브레진스키, “중-러-이란 동맹이 미국에 가장 큰 위협”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1.14

중∙이란, 5개월 전 2800억 달러 투자 합의 (위)지난 6일 솔레이마니 피살 후 열린 장례식 모습 (출처: 연합뉴스) (아래)7일 이란 혁명수비대 측의 이라크 내 미군 기지 미사일 공격 장면 (출처: AFP) 에너지 문제를...

[日의 對中 인식 ①] “미중 패권 교체, 당분간 없다”

다카하라 아키오 (高原明生, 도쿄대 교수), 감수·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 2020.01.09

中, 정치체제·고령화·부족한자원·無동맹·非기축통화 난제 수두룩 美, 많은 나라가 오만한 미국 싫어하는 게 가장 큰 문제 다카하라 아키오(高原明生) 도쿄대 교수 일본...

[전망 2020 ② / 외교·안보]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미·중 GDP 合 ‘35조 달러’의 향배, 이것이 우리의 최대 문제”

정리·이윤서 SD| 2020.01.05

세계 수준 중국연구소, 미중관계연구소 하나 없는 현실 말이 되나 2019년은 한반도 안보 지형에 근본적 변화가 표출되기 시작한 해로 기록될지 모른다. 북한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한일 관계가 더 이상...

[전망 2020 ① / 경제]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올해 경제 작년보다 더 어려울 것” - “문 정부 깜깜절벽, 야당은 더 답답”

정리·이윤서 SD| 2019.12.24

중·일 경제 보복은 너무 늦게 오지 않은 축복 격차가 특권 만들고 특권이 기득권 강화하는 상황 깨야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2019년 한국 경제는 연초 전망했던 것보다 더 나빴던 것 같다며...

[여시재 대화]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액티브 X(active X) 깔고, 뭐 깔고’ 공인인증서의 번거로움 - “블록체인 기반 분산 인증서가 곧 대체할 것”

임선우 SD, 이명호 SD| 2019.12.22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두 대통령이 해결 나섰지만 실패한 공인인증서 문제 최근 SNS 상에서 동영상 하나가 화제가 되었다. 특히 중년들 사이에서 많은 공감을 얻었다. 액티브 X(active X) 깔고, 뭐 깔고, …...

[여시재 인사이트 / 기후변화] 끊임없이 비상벨 울리는 미국과 중국 모델, 진보·보수 모두 자신들만의 교과서 버릴 때

안병진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2019.12.17

시사 주간 타임지의 2019 올해의 인물에 선정된 스웨덴 출신의 16세 소녀이자 환경 운동가인 그레타 툰베리 지난 9월 24일 만 16세의 스웨덴 소녀 그레타 툰베리는 유엔 기후정상회의에서 세계 각국의 정상들을...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5·끝] 미·중·일·러 모두에 ‘한국이 次善’ - 동북아 협력적 에너지 네트워크 구축으로 가야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2.13

한국가스공사 평택기지본부 모습 (사진 출처: 한국가스공사 홈페이지) 석유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가스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에너지의 수요-공급 체인에 근본적 변화가 생기는 지점에서 정치적 긴장과 갈등,...

[여시재 인사이트 / 교육] ① 하버드대 레이티 “뇌에 운동화를 신겨라”, ② 윌리엄메리대 김경희 “마음에 햇살을 비춰라” - 너무나 상식적인, 그러나 너무나 중요한 교육지침 2가지

최원정 SD| 2019.12.12

(사진 출처: Girls on the run 페이스북) 세상에는 너무나 상식적인, 그러나 너무나 중요한 것들이 있다. 어느덧 잊고 지나쳐버리지만 중요한 순간엔 꼭 세상의 중심으로 들어오는 것들이다. 교육은 어떨까....

[여시재 대화] “한국 농업의 미래를 찾기 위해 네덜란드로 갔다” - ‘세계 AI 농업대회’서 2위 오른 민승규 교수 팀 ‘디지로그’

채우정 SD| 2019.12.10

지난 9월 네덜란드에서 열린 세계 농업 인공지능 대회 모습 지난 9월 11명의 농업 외인구단이 네덜란드로 갔다. 여기에 스페인 출신 시뮬레이터 전문가가 결합했다. 올해로 두 번째인 세계 농업 인공지능(AI) 대회에 참가하기...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4] 美의 ‘페트로-달러’에 도전하는 中의 ‘가스-위안화’ - 일·싱가포르도 가스 허브 구축 추진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2.05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위치한 헨리 허브(Henry Hub) 헨리 허브 도식 (사진 출처: RBN Energy LLC, CGEP) 석유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가스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에너지의 수요-공급 체인에 근본적...

[여시재 인사이트 / 기후변화] 미 국방부의 충격적 ‘기후 재앙 보고서’ -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안병진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2019.12.03

(위)11월 15일 국제형법학회 총회에서 환경파괴를 교리에 죄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연설한 프란치스코 교황 (아래)2018년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와 2019년 9월 유엔기후정상회의에서 연설한 스웨덴 소녀 그레타...

[여시재 인사이트 / 디지털] 미래 걸린 양자 기술 개발, 마라톤이 시작되었다 - 미국 1위, 중국 2위, 일본 5위, 한국 10위

박성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양자기술연구단장)| 2019.11.29

구글이 개발한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 지난 10월 구글은 네이처를 통해 IBM 슈퍼컴퓨터로는 1만 년이 걸릴 연산을 우리 양자컴퓨터가 3분 20초 만에 끝냈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이른바 양자 우위 달성에 성공했으며, 상용화 고비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