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주간 인사이트] ‘반쪽’짜리 반도체 강국에서 ‘완전체’ 강국으로 가려면 - 强小기업 없이 삼성, SK만으론 한계 명확

양준철 (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2019.07.30

시스템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 한국 메모리 반도체 산업을 겨냥한 일본의 부품·소재 수출 규제는 한국의 반도체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파벌 담합’이 만드는 일본 총리, 21세기에도 유효할 것인가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9.11

스가 요시히데 현 일본 관방장관 (출처: 뉴시스) 스가 관방장관 99대 총리 확실시 이어 100대 총리 가능성 커 10월 14일 열릴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스가 요시히데 현 관방장관의 당선이 기정사실화되고...

[여시재 제안] 백신 공급을 넘어 ‘질서 있는 일상 복귀’로... 한국의 역할은?

전병조 (여시재 대표 연구위원·前 KB증권 사장)| 2021.03.26

- 개도국의 백신 접종을 지원할 공조 노력 시급 - 공공재로서의 백신 개발 위한 국제기금 창설 필요 - 韓·美, 팬데믹에 대응한 글로벌 협력 체제 재편 주도하자 백신 공급으로 코로나 전쟁은 새로운...

[중앙일보] “지금은 공간 혁명 시대... 재택근무 덕 중소도시에서도 일자리, 문화 가능”

최준호| 2018.01.02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美 정부의 아태 전략 지침서… “미일동맹 강화해야”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12.23

- 5차 아미티지-나이 리포트 분석 - 北 문제 해결에 일본 협조 유도 필요해 2020 아미티지-나이 리포트 표지 바이든 시대 아시아 태평양 구상을 엿볼 수 있는 2020년판 아미티지-나이 리포트가 발표되었다....

[전망 2021 ③ / 리처드 하스 美 외교협회(CFR) 회장] “미국이 예전과 같은 리더되기 어려워... 세계의 권력은 더 나뉘어졌다”

김원수 (여시재 국제자문위원장)∙박설믜 (여시재 SD)| 2021.01.19

- 2021년은 느리고 지난한 회복의 시작 - 코로나 극복과 다자주의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해결해야 세계는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2021년을 맞았다. 팬데믹으로 무너진 세계 질서는 아직 새로운 규범을 정립하지 못한 채 혼돈...

[여시재 대화 / 김성식 전 국회의원] “연정만이 경제혁신 노동개혁 등 굵직한 과제 해결할 수 있어”

이윤서 (SD)| 2020.09.28

김성식 여시재 특별연구원 인터뷰... 노무현 대통령 대연정 제안 고뇌 되새기며 차기 대선 화두 삼아야 대전환이 요구되는 시대라고 다들 말한다. 그러나 그 에너지를 끌어올려야 할 정치는 과거에 매인 채 갈수록 팬덤화...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⑤] 바이든 통상 정책, 트럼프와 닮은꼴

이효영 (국립외교원 교수)| 2020.12.14

한국은 美도 中도 아닌 중견국 다자주의 통상 연대 모색해야 여시재는 바이든 시대 미국 외교안보정책과 북미관계, 미중 대립의 판도와 통상 정책 등 주요 분야에서 예상되는 변화와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점검하는 시리즈를...

[주간 인사이트] 인터넷·GPS·드론이 탄생한 곳, DARPA는 어떻게 혁신적 연구조직의 전설이 되었는가? - 미래 기반기술 특공전략가들의 집단, “안정된 직장 원하는 사람은 필요 없다”

이명호| 2019.06.18

인터넷(알파넷), 마우스, 음성인식기술(애플 Siri), 자율주행차 등 세상을 바꾼 기술이 미국 DARPA의 연구에서 시작됐다. 과학기술과 연구, 첨단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DARPA(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

[이슈브리프] 중국의 도시문제

김도경 (한국교원대) / 진신 (성균중국연구소)| 2018.01.12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도시 문제 (2) 중국 - 중국의 도시문제 저자: 김도경 (한국교원대), 진신 (성균중국연구소) No.2018-002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2 변화의 동력, 지식패러다임의 변화 “활판인쇄 → 디지털, 600년만의 文明전환”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2.20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2 변화의 동력, 지식패러다임의 변화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링크)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대한민국 R&D 정책, 바이오 경제 시대를 향해 있는가

이동우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2020.09.04

- 생물 소재가 2030년 바이오경제 견인할 것 필자 이동우 교수는 극한미생물 대사 및 단백질 생화학 분야 전문가이다. 연세대학교를 나와 같은 대학원에서 2004년 생명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4] 美의 ‘페트로-달러’에 도전하는 中의 ‘가스-위안화’ - 일·싱가포르도 가스 허브 구축 추진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2.05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위치한 헨리 허브(Henry Hub) 헨리 허브 도식 (사진 출처: RBN Energy LLC, CGEP) 석유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가스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에너지의 수요-공급 체인에 근본적...

[포스트 COVID-19: 글로벌 미래대화 ⑧] “한국은 보편적 복지 맞지 않아… 선별적 패키지 지원 적합” - 노벨경제학자 뒤플로 MIT 교수

송보희 (여시재 SD)| 2020.12.07

- 에스테르 뒤플로 MIT 교수와 COVID-19 이후의 불평등을 주제로 대담 진행 - 엘리트에 대한 분노와 불신 확대… 세금으로 불평등 개선해야 COVID-19라는 폭풍이 몰고 온 변화는 깊고 넓다. 이에 여시재는 올 한해...

[대전환기의 설계자들] “그가 없었다면 미국이 남미처럼 수십 개 소국으로 쪼개졌을 것” - 북미 분단 막고 단일 초강대국의 기초를 세운 에이브러햄 링컨

황동일 기획위원| 2019.10.23

편집자 주 ABCDFGHIJKLMNOPQRSTUVWXYZABCDFGHIJKLMNOPQRSTUVWXYZABCDFGHIJKLMNOPQRSTUVWXYZ 대전환기다. 냉전 70년 만에 탈냉전과 미국 단일 패권시대가 왔고, 그 이후 30년 만에 패권 질서 재편의 시기에 들어섰다. 여기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