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COVID-19 / 항공산업] 3개국, 4개국 업체들이 얽힌 드론 밸류체인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사업단장)| 2020.05.06

COVID-19로 재편 불가피,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 오고 있다 COVID-19의 여파로 텅 빈 인천국제공항의 모습 (출처: 연합뉴스) 전 세계 비행기 운행 건수 한 달 만에 3분의 1로 축소 COVID-19의...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⑤] 바이든 통상 정책, 트럼프와 닮은꼴

이효영 (국립외교원 교수)| 2020.12.14

한국은 美도 中도 아닌 중견국 다자주의 통상 연대 모색해야 여시재는 바이든 시대 미국 외교안보정책과 북미관계, 미중 대립의 판도와 통상 정책 등 주요 분야에서 예상되는 변화와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점검하는 시리즈를...

美 정부의 아태 전략 지침서… “미일동맹 강화해야”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12.23

- 5차 아미티지-나이 리포트 분석 - 北 문제 해결에 일본 협조 유도 필요해 2020 아미티지-나이 리포트 표지 바이든 시대 아시아 태평양 구상을 엿볼 수 있는 2020년판 아미티지-나이 리포트가 발표되었다....

[이슈브리프] 도시문제 현황과 대응 방향-일본

김은혜 (히토쓰바시대 사회학연구과)| 2018.01.03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도시 문제 (3) 일본 - 도시문제 현황과 대응 방향-일본 저자: 김은혜 (히토쓰바시대 사회학연구과) No.2018-003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이슈리포트]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도시에서의 교육 혁신

이명호| 2018.01.10

프로젝트: 교육시스템 혁신 제목: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도시에서의 교육 혁신 저자: 이명호 (여시재),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은영 (송원대학교), 김홍열 (성공회대학교), 민경배...

[주간 인사이트 / 무인기 개발 ①] 창업 13년만에 100억달러 가치 중국 드론기업 DJI, 기술 먼저 개발하고도 완전히 밀린 한국 드론 산업 -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들었나

안오성 (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획실장, 출연연과학기술협의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3.15

우리 정부가 1년에 지원하는 국가 RD 예산이 20조원이다. 적재적소, 적기투입, 잘만 하면 미래를 이끌어갈 기초기술과 당장의 먹거리가 될 산업기술을 만들어내는 여름날 샘물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현장...

[대전환기의 설계자들] “그가 없었다면 미국이 남미처럼 수십 개 소국으로 쪼개졌을 것” - 북미 분단 막고 단일 초강대국의 기초를 세운 에이브러햄 링컨

황동일 기획위원| 2019.10.23

편집자 주 대전환기다. 냉전 70년 만에 탈냉전과 미국 단일 패권시대가 왔고, 그 이후 30년 만에 패권 질서 재편의 시기에 들어섰다. 여기에 4차 디지털 기술혁명이 표준 전쟁으로 비화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의 권력이동이 가로...

[주간 인사이트] ‘반쪽’짜리 반도체 강국에서 ‘완전체’ 강국으로 가려면 - 强小기업 없이 삼성, SK만으론 한계 명확

양준철 (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2019.07.30

시스템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 한국 메모리 반도체 산업을 겨냥한 일본의 부품·소재 수출 규제는 한국의 반도체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중앙일보] 노화도 고칠 수 있는 질병 … 냉동인간 150명 부활 기다린다

강기헌| 2017.12.26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 대화 / 이공현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 ‘대한민국은 民主 그리고 共和國’, 왜 공화국을 소극적으로 해석하는가?

최원정 (커뮤니케이션실장)| 2020.06.09

COVID-19로 재발견한 공공의 가치 COVID-19 사태는 우리에게 공공(公共)의 의미를 재각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공화국이라는 사실도 현실 속에서 돌아볼 수 있게...

[여시재는 지금] “지금대로라면 모든 게 불법” “실험도 하지 말라고 한다” - 여시재 ‘미래산업’ 5차 토론회, “스마트시티를 최고 수출 상품으로”

양보라, 이윤서| 2019.06.25

산업혁명은 새로운 도시를 탄생시켰다. 1차 산업혁명은 면직 산업의 중심도시 리버풀을, 2차 산업혁명은 자동차 중심도시 디트로이트를 만들었다. 그러나 리버풀은 2차 산업혁명과 동시에 기울었고 디트로이트는 IT 3차 산업혁명의 태풍을...

[여시재는 지금] ‘에너지 지정학’ 보고서 2 / 21세기|중동 석유의 시대가 저물고 美-러시아 천연가스의 시대가 오고 있다 - ‘석유-달러 체제’를 ‘가스-달러 체제’로 바꿀 수 있느냐가 美패권 유지 좌우

김연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09

미 태평양 함대 사진과 중국 항공모함 20세기는 미국의 석유-달러 패권이 창출되고 유지되고 공고해지던 시대였다. 미국은 IMF와 세계은행을 통해 달러 기축통화 체제를 구축한 데 이어 1975년 사우디와 페트로(석유)-달러 협약을...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 “여시재의 나비 프로젝트는 러시아에도 유익”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03.09

여시재 포럼에 참석한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산하 석유-천연가스문제 연구소 부소장 핵심 내용 - 러시아에서 존경 받는 에너지 전문가인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가 2017 여시재...

“빌 게이츠가 말한 ‘한국 생산 백신 2억 개’, 그중 일부라도 ‘국내 사용’ 확보해야”

윤준영 (SD)| 2020.07.28

K 방역은 빨리빨리 문화 소산 다른 팬데믹 올 때 성공 보장 없다 -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여시재서 세미나 K-방역은 성공했는가? 그렇다고 세계가 평가한다. 지금까지는 맞다. 앞으로도 그럴 수 있을 것인가?...

[북리뷰 / FOOD OR WAR] “전세계 국방비의 20%를 ‘식량을 통한 평화’에 투입하자” - 호주 과학작가 줄리안 크립이 쓴 ‘식량의 서사시’

티테녹 안나 (SD)| 2020.04.24

(출처: 블룸버그) 식량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게 만든 코로나19 코로나 사태엔 미덕도 있다.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근본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건강과 보건은 나만의 문제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