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사업단장)
2020.05.06COVID-19로 재편 불가피,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 오고 있다 COVID-19의 여파로 텅 빈 인천국제공항의 모습 (출처: 연합뉴스) 전 세계 비행기 운행 건수 한 달 만에 3분의 1로 축소 COVID-19의...
이효영 (국립외교원 교수)
2020.12.14한국은 美도 中도 아닌 중견국 다자주의 통상 연대 모색해야 여시재는 바이든 시대 미국 외교안보정책과 북미관계, 미중 대립의 판도와 통상 정책 등 주요 분야에서 예상되는 변화와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점검하는 시리즈를...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12.23- 5차 아미티지-나이 리포트 분석 - 北 문제 해결에 일본 협조 유도 필요해 2020 아미티지-나이 리포트 표지 바이든 시대 아시아 태평양 구상을 엿볼 수 있는 2020년판 아미티지-나이 리포트가 발표되었다....
김은혜 (히토쓰바시대 사회학연구과)
2018.01.03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도시 문제 (3) 일본 - 도시문제 현황과 대응 방향-일본 저자: 김은혜 (히토쓰바시대 사회학연구과) No.2018-003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이명호
2018.01.10프로젝트: 교육시스템 혁신 제목: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도시에서의 교육 혁신 저자: 이명호 (여시재),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은영 (송원대학교), 김홍열 (성공회대학교), 민경배...
안오성 (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획실장, 출연연과학기술협의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3.15우리 정부가 1년에 지원하는 국가 RD 예산이 20조원이다. 적재적소, 적기투입, 잘만 하면 미래를 이끌어갈 기초기술과 당장의 먹거리가 될 산업기술을 만들어내는 여름날 샘물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현장...
황동일 기획위원
2019.10.23편집자 주 대전환기다. 냉전 70년 만에 탈냉전과 미국 단일 패권시대가 왔고, 그 이후 30년 만에 패권 질서 재편의 시기에 들어섰다. 여기에 4차 디지털 기술혁명이 표준 전쟁으로 비화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의 권력이동이 가로...
양준철 (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2019.07.30시스템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부품 한국 메모리 반도체 산업을 겨냥한 일본의 부품·소재 수출 규제는 한국의 반도체 산업 현황과 발전 방향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강기헌
2017.12.26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최원정 (커뮤니케이션실장)
2020.06.09COVID-19로 재발견한 공공의 가치 COVID-19 사태는 우리에게 공공(公共)의 의미를 재각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공화국이라는 사실도 현실 속에서 돌아볼 수 있게...
양보라, 이윤서
2019.06.25산업혁명은 새로운 도시를 탄생시켰다. 1차 산업혁명은 면직 산업의 중심도시 리버풀을, 2차 산업혁명은 자동차 중심도시 디트로이트를 만들었다. 그러나 리버풀은 2차 산업혁명과 동시에 기울었고 디트로이트는 IT 3차 산업혁명의 태풍을...
김연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09미 태평양 함대 사진과 중국 항공모함 20세기는 미국의 석유-달러 패권이 창출되고 유지되고 공고해지던 시대였다. 미국은 IMF와 세계은행을 통해 달러 기축통화 체제를 구축한 데 이어 1975년 사우디와 페트로(석유)-달러 협약을...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03.09여시재 포럼에 참석한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산하 석유-천연가스문제 연구소 부소장 핵심 내용 - 러시아에서 존경 받는 에너지 전문가인 알렉세이 마스테파노프가 2017 여시재...
윤준영 (SD)
2020.07.28K 방역은 빨리빨리 문화 소산 다른 팬데믹 올 때 성공 보장 없다 -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여시재서 세미나 K-방역은 성공했는가? 그렇다고 세계가 평가한다. 지금까지는 맞다. 앞으로도 그럴 수 있을 것인가?...
티테녹 안나 (SD)
2020.04.24(출처: 블룸버그) 식량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게 만든 코로나19 코로나 사태엔 미덕도 있다.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근본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건강과 보건은 나만의 문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