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김원수 (여시재 국제자문위원장)∙박설믜 (여시재 SD)
2021.01.19- 2021년은 느리고 지난한 회복의 시작 - 코로나 극복과 다자주의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해결해야 세계는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2021년을 맞았다. 팬데믹으로 무너진 세계 질서는 아직 새로운 규범을 정립하지 못한 채 혼돈...
양철 (성균중국연구소)
2017.11.07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에너지 정책 (2) 중국 - 중국의 에너지 수급 현황 및 정책 동향 저자: 양철 (성균중국연구소) No.2017-058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6.12(출처: 왼-AFP / 오-연합뉴스) COVID-19의 지구적 확산 과정에서 미국과 중국은 리더십에 큰 상처를 입었다. 글로벌 리더십 공백 상황은 빠른 시간 내에 해소될 가능성이 없다. 미국과 중국은 여기에 더해 국내 거버넌스에서도...
다카하라 아키오 (高原明生, 도쿄대 교수), 감수·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
2020.01.09中, 정치체제·고령화·부족한자원·無동맹·非기축통화 난제 수두룩 美, 많은 나라가 오만한 미국 싫어하는 게 가장 큰 문제 다카하라 아키오(高原明生) 도쿄대 교수 일본...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4.28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4월 26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포럼 <AI 시대, 대학의 길을 묻다>를 개최했다. 오는 9월 개교를 앞둔 태재대학교, 조선일보와 공동 주관으로 개최한 이번 포럼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현 대학...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2.05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위치한 헨리 허브(Henry Hub) 헨리 허브 도식 (사진 출처: RBN Energy LLC, CGEP) 석유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가스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에너지의 수요-공급 체인에 근본적...
윤준영 (SD)
2020.05.21한국이 주도할 수 있다 (자문) 윤상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최경진 가천대학교 법대 교수 김원준 리더스 특허법률사무소 대표 WHO 총회 모습 (출처: 로이터) 백신이 나와도 최고...
성균중국연구소
2018.12.07(재)여시재는 성균중국연구소와 함께 현재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향후 미-중관계의 향방을 검토하는 중국의 변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연구 결과를 앞으로 매월 2편의 인사이트 칼럼과 1편의 연구보고서 형태로 독자들과...
최준호
2018.01.02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김은환 (저술가)
2019.05.30수저론, 헬조선, 사라진 개천 용 등 지금 한국 사회를 사로잡고 있는 키워드들은 신계급사회의 도래를 알리는 것처럼 보인다. 부와 권력의 불평등은 심화될 뿐 아니라 고착화된다. 이제 초입에 들어선 디지털혁명은 이 불평등을 1대 99의...
황동일 기획위원
2019.10.10편집자 주 대전환기다. 냉전 70년 만에 탈냉전과 미국 단일 패권시대가 왔고, 그 이후 30년 만에 패권 질서 재편의 시기에 들어섰다. 여기에 4차 디지털 기술혁명이 표준 전쟁으로 비화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의 권력이동이 가로...
이명호, 문병철 (여시재 SD)
2019.09.03보스턴-캠브리지 바이오 클러스터 (출처: 데일리 메디) 글로벌 톱 20 제약회사 중 19개가 보스턴에 연구소 개설 최근 혁신 생태계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지역이 있다. 보스턴의 바이오 클러스터(Boston Biotech...
관리자
2017.04.03화평굴기 和平崛起 요약 화평굴기(和平崛起)는 평화롭게 우뚝 선다는 뜻으로, 후진타오(胡錦濤) 집권 초기 중국의 대외전략으로 천명되었다. 2003년 당시 중앙당교 상무부장 정비젠(鄭必堅)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으며,...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9.11스가 요시히데 현 일본 관방장관 (출처: 뉴시스) 스가 관방장관 99대 총리 확실시 이어 100대 총리 가능성 커 10월 14일 열릴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스가 요시히데 현 관방장관의 당선이 기정사실화되고...
나지원
2017.06.23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인구변화와 사회변동 (1) 미국 - 미국의 인구문제와 사회 변동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28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