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는 지금] “북 학자들은 우리 학생들과 같이 경제 경영 산림 과목을 수강한다” - 9년 동안 북 교수 46명 연수시킨 캐나다 UBC 박경애 교수, 여시재서 간담회

이한결 SD| 2019.02.28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UBC)의 캐나다-북한 지식교류 협력 프로그램(KPP)은 2011년부터 매년 북한 대학에서 6명의 학자들을 초청해 6개월 과정의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핵 위기가 극단으로 치달았던...

[주간 인사이트] 한진해운 파산 3년, 해운업 이대로는 안 된다 - 물류 기업 M&A로 규모 키우고 해운 클러스터 조성해야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2019.02.28

해운은 우리나라 수출산업 상위 10위권 중 유일한 서비스업이다. 그러나 해운의 2015년 매출은 39조 원이었으나 2016년에 29조 원으로 순식간에 10조 원이 증발했다. 세계 8위 해운선사 한진해운의 파산이 결정적이었다. 2016년은 우리나라...

[주간 인사이트] 미·중 경제패권, 뜨거운 戰場 - 어디서 發火할 것인가

유진석| 2019.02.28

미·중 무역분쟁이 3월 말 미국에서 열릴 정상회담에서 일단 마무리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략적 휴전에 해당할 뿐이다. 패권 경쟁이라는 기본 구조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분쟁은 언제, 어느 지점에서라도 재점화...

[주간 인사이트] 새로운 사회 계약이 필요하다 - 디지털 시대, 일자리와 복지 틀 변화에 시급히 대응해야

이명호 SD| 2019.02.21

자동화, 지능화 확대에 따른 산업과 일, 일자리의 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일자리 축소 및 일자리 자체의 성격 변화에 따라 복지정책과 사회정책을 전면적으로 재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소득 논의가...

[주간 인사이트] 빗물 요금제 시급히 도입해야 -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시, 땅이 말라 물과 대기순환 불균형 초래

최지용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 2019.02.21

우리나라는 지난 20~30여 년간 물의 경제적·생태적 중요성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높아지고,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제도들이 정비되면서 물 관리에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다. 공공 수역 수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대학] 세계 최고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발전방안

김태영 (포스텍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2019.02.21

한반도와 동북아 미래를 대비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역량 및 평가기준에 대한 기초 연구 세계 최고 연구중심 대학으로의 발전...

[군대] 국방 인재 선발 및 관리 방안

노영구 (국방대학교 교수)| 2019.02.21

6축 전략 - #2. 국방 인재 선발 및 관리...

[시사 인사이트] 중국, 중∙고교 이어 초등학교용 AI 교과서 낸다 - 알고리즘까지 체험 학습, 올해 1000개 학교 채택

김지수 SD, 권구열 SD| 2019.02.15

유니콘 스타트업 센스타임 창업자가 교재 집필 세계 최초 AI(인공지능) 교과서 발간 소식이 전해진 것이 작년 4월 말 중국에서였다. 칭화대 부속고교 등 상하이 지역 40개 고교가 첫 인공지능 실험학교로 지정돼 AI 교과서로...

[디지털이 미래다 / 05 / 인터넷, 대중의 미래를 열다] - 전문가로부터 ‘지식 권력’을 빼앗다

이명호 SD| 2019.02.15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5 인터넷, 대중의 미래를 열다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링크)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시사 인사이트] ‘북 철도 보다 항만 개발이 먼저’라고? 숟가락이냐 젓가락이냐는 질문과 같다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9.02.15

여시재는 지난 2월 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이성우 물류연구본부장이 쓴 남북 물류협력, 철도 보다 항만이 더 중요하다는 글을 홈페이지에 게재했습니다. 남북경협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시대에 우리 내부의 논의가 철도 연결에 과도하게...

[중국의 변화 ④] 여시재-성균중국연구소 공동연구, 중국은 왜 AI에 높은 관심을 보이나? - 시진핑 “AI는 국제정치에 심대한 영향” “관건은 핵심기술장악”

성균중국연구소| 2019.02.08

AI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관심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국제정치와 글로벌 밸류 체인 판도를 일거에 바꿀 게임 체인저로 AI를 지목했다. 미국 등과의 미래 경쟁의 중심에도 AI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주간 인사이트] 남북 물류협력, 철도 보다 항만이 더 중요하다 - 海運이 경제성·전략적 가치 더 높아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2019.02.07

최근 남북철도 연결과 한반도 육상물류의 미래에 대한 관심과 희망이 연일 언론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남북철도의 연결은 한반도가 유라시아 대륙으로부터 70여 년간의 고립에서 벗어나 대륙으로 물류가 연결된다는 일인 만큼 관심이 높은...

[여시재는 지금] ‘중국의 변화’ 보고서 1 완성

성균중국연구소| 2019.01.31

새로운 국력 평가 지표가 필요하다 - 하드파워 소프트파워 평가로는 중국은 미국 못따라가 -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미래를 설계하는 권력 평가기법 개발해야 미국과 중국의 무역-지식재산권 분쟁이 혼조를 거듭하고 있다....

[여시재 북리뷰] 덩샤오핑의 사상을 시진핑에게 전달하는 학자의 ‘중국론’ - 장웨이웨이 「중국은 문명형 국가다」

유진석| 2019.01.31

중국은 우리에게 숙명이다. 미국이 지난 수십 년 숙명이었던 것처럼, 중국은 한국에 수천 년 숙명이었고 수십년간의 단절을 거쳐 단숨에 또다시 숙명이 되어가고 있다. 앞으로 점점 그렇게 될 것이다. 중국을 알지 못하면 우리 운명이...

[대학]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역량 및 평가기준에 대한 기초연구

김태영 (포스텍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2019.01.24

한반도와 동북아 미래를 대비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역량 및 평가기준에 대한 기초...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