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중앙일보] 세계 유전체 기술, 도약점 넘어 특이점 향해 치솟고 있다

최준호| 2017.12.04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주간 인사이트] “原電은 근육과 뼈”라는 중국, ‘원전庫 동아시아’ 가속화 - 가공할 事故에 어떤 대책도 없다

이종인 (여시재 부원장)| 2019.08.16

2011년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 사고를 일으킨 후쿠시마 원전 (출처: 일본 FNN) 2017년 6월 문재인 대통령은 국내 최초 원전인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기념사를 통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을 제거해야...

[전망 2019] ④ 이희옥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장 - ‘중국식 세계화’가 중국의 종국적 목표, AI 집중은 ‘게임 체인저’ 찾기 위한 움직임

이희옥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장)| 2019.01.17

1979년 1월 1일 미국과 중국이 수교했고 2019년으로 40주년을 맞았다. 중국이 경제특구를 설치해 해외직접투자를 유치하고, 국제통화기금의 회원국 지위를 회복하는 등 개혁개방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던 것도 미국의 전략적 지원에...

[주간 인사이트] ‘징비록’ 현장에서 한·일 관계를 돌아보다

남중수 (전 KT 사장)| 2019.07.25

과거와 현재가 싸워 미래를 망가뜨려선 안돼 - 한·일 문화적 유사성, AI 로봇 스마트팩토리 협력 가능성 커 필자는 외가인 안동 하회마을을 자주 간다. 하회마을은 임진왜란의 또 다른 영웅인 서애 류성룡이 영의정 관직을...

[이슈브리프] 미국의 에너지 산업과 정책: Back to the Future?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7.11.0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에너지 정책 (1) 미국 - 미국의 에너지 산업과 정책: Back to the Future?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57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 인사이트 / 지속가능발전] 비례대표 1번을 ‘미래세대’에 주자 - 아직 태어나지 않은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을 위하여

김성수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19.10.17

출처: 뉴스 1 올해 신생아 30만 명 하회 100년간 태어나도 3000만 명 불과 오늘도 한국 정치판은 여야 공방으로 뜨겁다. 공직후보자의 적격성을 둘러싸고 죽기 살기식 폭로와 설전을 이어간다. 뿐인가. 정부의...

[주간 인사이트] 미래의 에너지 전력, 1%P씩 10년간 늘면 200조원 추가투자 필요

관리자| 2018.12.20

2018년 1월 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행사장에 정전이 일어났다. CES는 참가기업 4000개, 참가인원 20만 명인 세계 최대규모 가전쇼다. 2014년 미래형 커넥티드카, 2018년 스마트시티 등 CES의 키워드는...

[혁신가 인터뷰 15] 민동세(도우누리) - “신뢰를 회복하고, 철학과 가치가 정립돼야 정책도 제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봅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시재 글로벌 미래대화 하이라이트 ①] COVID-19 이후의 국제 질서

재단법인 여시재| 2021.03.29

여시재에서는 코로나가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꿨던 지난 1년 동안 새로운 국제 질서를 전망하고,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자는 취지 아래 분야별 세계의 석학들과 함께하는 비대면 방식의 웨비나 시리즈 「글로벌 미래대화」를...

[대화당 공부모임] 동아시아 역사 속 일본

노조에 타마미 (SD)| 2020.07.10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에서는 매월 셋째 주 토요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고 함께 공부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일명 대화당 공부모임이다. 학자와 관료, 기업인,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오피니언 리더들로 구성된 모임은 발제와 토론을...

[동북아 새 책] 4개국 신간 소개 - ‘엑스트라 타임’ 등

관리자| 2019.06.04

(재)여시재가 미-중-일-러 4개국 신간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4개국 주요 언론에 실린 신간 중에서 우리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을 선별해 2주에 1번꼴로 소개합니다.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미-중-일-러 4개국은 한국과 한반도 운명을...

[한‧미 글로벌 세미나] 팬데믹 신속대응체계 모색

재단법인 여시재| 2021.05.31

지난 5월 14일 여시재는 대한민국 외교부와 함께 팬데믹 신속대응체계 모색을 주제로 한‧미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백신이 속속 개발되면서 전 세계 모두에게 닥쳐온 감염병의 위력이 국가별로 상이해지고 있는 가운데, 한미...

[동북아협력 워킹페이퍼 #4] 동북아 교통 연결의 의미와 협력방안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장)| 2021.12.02

태재 아카데미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혁신가 인터뷰 06] 명승은(벤처스퀘어) - “중소기업이 새로운 동력을 만들고 대기업이 이를 뒷받침하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시재는 지금] “농·축·수산업은 선진국의 상징” 뒤쳐진 농·수·축산업, 천연물질·種子 그리고 양식·개펄에 길이 있다 - 여시재 ‘미래산업’ 4차 토론회

황세희| 2019.05.30

세계 食品시장 규모 IT의 6배, 자동차의 5배 식품은 인간사회의 절대적 출발점(조승목 부경대 교수)이다. 다른 산업이 아무리 규모를 키워도 식품을 따라잡지 못한다. 통계가 보여준다. 특정 시대에 가장 큰 어떤 산업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