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는 지금] “농·축·수산업은 선진국의 상징” 뒤쳐진 농·수·축산업, 천연물질·種子 그리고 양식·개펄에 길이 있다 - 여시재 ‘미래산업’ 4차 토론회

황세희| 2019.05.30

세계 食品시장 규모 IT의 6배, 자동차의 5배 식품은 인간사회의 절대적 출발점(조승목 부경대 교수)이다. 다른 산업이 아무리 규모를 키워도 식품을 따라잡지 못한다. 통계가 보여준다. 특정 시대에 가장 큰 어떤 산업도...

[세미나] 아베 정권 일본 국가 전략의 전망과 차기 정부의 대 일본 정책

김서희| 2017.04.06

일본 국가 전략 세미나 세션 1: 일본의 방위 정책, 외교 전략 세션 2: 일본의 경제 정책과 정보통신기술 전략 주최·주관: 여시재 일시·장소: 2017년 3월 25일(토요일) / 10:00-12:30, 여시재...

미래 신문명과 유교문화의 의의: 문명사적 성찰 - 김경동 서울대 명예교수 강연

서용석| 2017.03.07

김경동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지난 2월 28일 여시재에서는 한국 사회학계의 원로학자인 김경동 서울대 명예교수를 초청해 미래 신문명과 유교문화의 의의: 문명사적 성찰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

[2020 금융CEO포럼] 한국 금융의 위기와 기회

여시재| 2020.05.06

여시재와 에너지경제신문은 지난 4월 29일 서울시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금융의 위기와기회를 주제로 2020 금융CEO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포럼은 COVID19 이후 산업 패러다임의 대전환기를 맞아 한국 금융산업이 처한 현실을...

[전망 2019] ③ 이광재 여시재 원장 “100년 만에 맞은 운명적 한 해, 북·미 잘 지내고 한·중 잘 지내는 선순환구조 만들어야”

김윤진| 2019.01.15

우리는 지금 우리가 감지하고 있는 이상의 대전환기를 지나고 있는지 모른다. 북 비핵화 협상 결과는 북한만이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운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미-중의 신냉전 기류는 우리를 강요된 선택의 길로...

‘HOME’, 미래의 문명을 바꾸다 - 시·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생산과 생활의 플랫폼’, 포스코경영연구원 보고서 공개

관리자| 2019.03.08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문명적 총아다. 디지털 혁명은 인구밀집형 대도시의 강점을 상실케 하고 데이터 밀집형 소규모 스마트도시로의 재편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스마트홈으로 교육과 의료가 들어오고 그 자체가 생산...

[주간 인사이트] 실업률 10%를 8년만에 4%로, 오바마 경제의 본질은 개방혁신(Open Innovation) - “세계의 인재와 자본이 한국에 와서 아이디어로 돈을 벌게 하라”

윤종록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전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2019.08.30

Startup America로 연결된 미 통계청장의 한마디 세계경제의 기상도가 폭풍전야를 넘어 폭풍 속으로 들어섰다. 가랑비 예보라면 비닐우산 하나면 되겠지만 폭우와 우박에 곳에 따라 번개가 동반된다면 튼튼한 우산으로도 안된다....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2호(2020년 10월 셋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0.20

◆ 주간 총평: 미중 갈등 파문 확산... BTS 한국전쟁 발언 봉변 2020년 10월 셋째 주에도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추세가 계속됐다. 특히 이번 주에는 미중 갈등 파장이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는 양상이 두드러졌는데, 한국도...

[중앙일보] “인간배아를 버리는게 윤리적인가, 살려내는게 윤리적인가”

최준호| 2017.12.04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소에야 요시히데 “아시아 및 세계 경제 성장에 공헌하는 것이 일본외교의 축”

황세희| 2017.03.14

한일관계의 경색 국면이 장기화하는 사이 일본의 적극적인 대외전략 전개 속에 한국이 상대적으로 경시되고 왔다. 동북아 질서 형성에 한국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한일 협력을 전략자산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중앙일보] 국내 수소차값 8500만원 … 정부 보조금은 올해 130대뿐

김도년| 2017.11.20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중앙일보] 수소차 첫 양산 한국, 충전소 없어 멈췄다

김도년| 2017.11.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주간 인사이트] “2600명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열망이 국가 자산이 되기를 소망한다” - 25개 정부출연연 연구자들이 ‘일본발 소재∙부품∙장비 대란’에 부치는 목소리

대표집필/안오성 (정부출연연 과학기술인연합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8.31

일본의 소재부품 수출 제한 조치가 장기화될 우려가 높아지면서 각계 의견이 쏟아지는 가운데, 정부도 빠른 대안을 내놓고 있다. 핵심기술 대외 의존형 국가 성장 모델에 대한 경고음이 울린지도, 대안을 모색한지도 20년이 넘는다. 많은...

[여시재 인터뷰] "싱크탱크의 성패,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달렸다" 제임스 맥건 펜실베니아대 교수

재단법인 여시재| 2021.06.24

여시재는 올해 우리나라의 초일류 국가 진입을 위한 혁신 과제 중 하나로 싱크탱크의 발전 방안과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싱크탱크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제임스 맥건(James G. McGann)...

[중앙일보] 세계 최고 기술∙인력 갖고도 꽁꽁 묶인 한국 유전체 기술

최준호| 2017.12.0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