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주간 인사이트] 가마우지 경제, 칠면조 경제가 되지 않기 위해서 - 대기업의 자본과 스타트업의 혁신성을 엮어야

전병조 (전 KB증권 사장, 여시재 자문위원)| 2019.09.06

2008년 금융위기가 블랙스완 단편이라면 미중무역전쟁은 블랙스완 미드 경제는 복잡계다. 경제 활동 주체와 환경요소들이 상호작용하고, 그 상호작용의 영향은 가변적이며 비선형적(non-linear)이다. 시야를 글로벌 경제로 옮기면...

[혁신가 인터뷰 14] 김동찬(만인의 꿈) - “생활자금이나 성장을 위한 자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금융정책이 있었으면”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슈리포트] 유라시아 협력과 한국의 전략: 일대일로 구상, 북극항로, 에너지 및 경제협력

관리자| 2017.05.31

프로젝트: 원대한 원 기반연구 제목: 유라시아 협력과 한국의 전략: 일대일로 구상, 북극항로, 에너지 및 경제협력 저자: 여시재 l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No.2017-20 이 보고서는 여시재 동북아팀이 이연호(연세대),...

[여시재는 지금] “대기업에 스타트업 숨통 열어주게 해야” “구글에 M&A 당하면 만세 부르고 삼성에 M&A 당하면 문제가 되는 상황”… ‘여시재’ 2차 토론회서 ‘M&A 지원센터 설립’ 등 혁신적 제안 쏟아져

관리자| 2019.04.18

윤종록 가천대 석좌교수, 김윤식 시도지사협의회 사무총장, 전병조 전KB증권 사장, 문규학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매니징 파트너, 김병관 국회의원, 문승욱 경남 경제부지사, 이광재 여시재 원장, 최희남...

[매경] ⑥ ‘시市·산産·학學’복합체-대량소비 메가시티론 한계…‘저비용 스마트시티’로 가야

매경취재팀| 2017.04.21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여시재는 지금] “동북아 ‘초국가 에너지망’ 구축 본격화할 때 됐다” - 여시재 주최 포럼서 각국 전문가들 제기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11.20

남-북-중-일-러와 몽골 6개국을 포괄하는 초국가적 동북아 에너지망 구축 논의를 본격화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국제포럼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석탄과 철강이 EU 통합의 매개가 된 것처럼 동북아 지역에선 전력망과 가스라인이 그 역할을...

[여시재 북리뷰] GDP는 죄가 없다, 다만 문제는 많다 - 다이앤 코일 「GDP 사용설명서」

이우정| 2018.10.12

지난주 통계청이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로 환산한 자료를 내놓았다. 1인당(대부분은 여성) 하루 평균 2시간 15분씩 일해서 연간 710만여 원(2014년)의 가치를 생산한다는 내용이다. 2014년 기준 최저임금의 약 2배 수준이며, 우리...

[주간 인사이트] ‘85세 청년들의 사회’, 집이 병원이 된다.

이명호| 2018.08.16

문명의 변화가 환경을 바꾸고 변화하는 환경이 인체를 바꾸고 인체의 변화가 질병을 바꾼다. 질병은 1000년 단위로 축적되는 인체 DNA 변화와 환경요인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지금 인류는 문명사적 변화의 시대, 질병도 변하는 시대를...

[주간 인사이트] “내 데이터는 도대체 어디에 쓰는 것이냐?” - 설명을 요구할 권리는 이제 기본권이다

구희상 (미래가치 SD)| 2018.10.19

AI기술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자율주행차의 출시가 다가오고 있으며 초보적 AI 기자와 AI 변호사는 이미 등장했다. 쇼핑몰에서 내가 필요로 할만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기능은 매우 유용하다. 앞으로 사회적 의사결정을 할 때도 AI의...

[중앙SUNDAY] 2017년 중국 19차 당 대회 지도부 개편, 시진핑의 선택은

관리자| 2017.01.12

1921년 창당된 중국 공산당의 역사는 이제 100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서구식 자본주의·민주주의가 거센 도전에 직면한 지금,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중국 공산당 일당 지배의 장수 비결이 궁금하다. 내년 가을...

[중앙SUNDAY] 김정남 독살, 북중관계 상수와 변수들

관리자| 2017.02.19

일시적으로 냉각은 되겠지만 대북압박 심해지진 않을 듯 ​[김정남 독살] 북중관계 상수와 변수들 북한이 지난 12일 중거리 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을 시험발사하는 장면. [노동신문] 북극성 2형 미사일, 김정남...

[동북아 새 책] 4개국 신간 소개 - ‘심천 기적’ 등

관리자| 2019.05.10

(재)여시재가 미-중-일-러 4개국 신간 안내를 시작합니다. 4개국 주요 언론에 실린 신간 중에서 우리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을 선별해 2주에 1번꼴로 소개합니다. 4개국은 한국과 한반도 운명을 좌우할만한 나라들입니다. 그들의 관심사에...

[시사 인사이트] 에너지 전환, 100년 만에 찾아온 동북아의 기회이자 위기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1.30

2010년 이후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으로 미국과의 세계 패권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문제를 관찰하는 데 있어 무역분쟁 등 현재 벌어지는 상황도 중요하지만 지난 50~60년간 미국의 힘과 패권 유지의 주요 동력이...

[중앙SUNDAY] 발전 이끈 실용주의 한계 도달, 새 가치 선택의 기로에

자오후지| 2017.02.06

전직 黨校 교수가 쓰는 중국공산당 이야기 당의 이념 흑묘백묘론을 내세운 덩샤오핑은 중국을 다시 실용주의 국가로 변모시켜 개혁·개방을 이끌었다. 사진은 덩 탄생 110주년을 하루 앞둔 2014년 8월 21일 광둥성...

[주간 인사이트] 미·중 경제패권, 뜨거운 戰場 - 어디서 發火할 것인가

유진석| 2019.02.28

미·중 무역분쟁이 3월 말 미국에서 열릴 정상회담에서 일단 마무리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략적 휴전에 해당할 뿐이다. 패권 경쟁이라는 기본 구조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분쟁은 언제, 어느 지점에서라도 재점화...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