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 인터뷰] "싱크탱크의 성패,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달렸다" 제임스 맥건 펜실베니아대 교수

재단법인 여시재| 2021.06.24

여시재는 올해 우리나라의 초일류 국가 진입을 위한 혁신 과제 중 하나로 싱크탱크의 발전 방안과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싱크탱크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제임스 맥건(James G. McGann)...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2호(2020년 10월 셋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0.20

◆ 주간 총평: 미중 갈등 파문 확산... BTS 한국전쟁 발언 봉변 2020년 10월 셋째 주에도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추세가 계속됐다. 특히 이번 주에는 미중 갈등 파장이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는 양상이 두드러졌는데, 한국도...

‘HOME’, 미래의 문명을 바꾸다 - 시·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생산과 생활의 플랫폼’, 포스코경영연구원 보고서 공개

관리자| 2019.03.08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문명적 총아다. 디지털 혁명은 인구밀집형 대도시의 강점을 상실케 하고 데이터 밀집형 소규모 스마트도시로의 재편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스마트홈으로 교육과 의료가 들어오고 그 자체가 생산...

[매경] ① 도시가 미래다-앤서니 기든스는? 좌우 뛰어넘는 ‘제 3의 길’ 제시한 사회학자

신현규| 2017.04.10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이슈리포트] 유라시아 협력과 한국의 전략: 일대일로 구상, 북극항로, 에너지 및 경제협력

관리자| 2017.05.31

프로젝트: 원대한 원 기반연구 제목: 유라시아 협력과 한국의 전략: 일대일로 구상, 북극항로, 에너지 및 경제협력 저자: 여시재 l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No.2017-20 이 보고서는 여시재 동북아팀이 이연호(연세대),...

[여시재는 지금] “대기업에 스타트업 숨통 열어주게 해야” “구글에 M&A 당하면 만세 부르고 삼성에 M&A 당하면 문제가 되는 상황”… ‘여시재’ 2차 토론회서 ‘M&A 지원센터 설립’ 등 혁신적 제안 쏟아져

관리자| 2019.04.18

윤종록 가천대 석좌교수, 김윤식 시도지사협의회 사무총장, 전병조 전KB증권 사장, 문규학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매니징 파트너, 김병관 국회의원, 문승욱 경남 경제부지사, 이광재 여시재 원장, 최희남...

[혁신가 인터뷰 14] 김동찬(만인의 꿈) - “생활자금이나 성장을 위한 자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금융정책이 있었으면”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중앙일보] 세계 최고 기술∙인력 갖고도 꽁꽁 묶인 한국 유전체 기술

최준호| 2017.12.0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주간 인사이트] “내 데이터는 도대체 어디에 쓰는 것이냐?” - 설명을 요구할 권리는 이제 기본권이다

구희상 (미래가치 SD)| 2018.10.19

AI기술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자율주행차의 출시가 다가오고 있으며 초보적 AI 기자와 AI 변호사는 이미 등장했다. 쇼핑몰에서 내가 필요로 할만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기능은 매우 유용하다. 앞으로 사회적 의사결정을 할 때도 AI의...

[중앙SUNDAY] 발전 이끈 실용주의 한계 도달, 새 가치 선택의 기로에

자오후지| 2017.02.06

전직 黨校 교수가 쓰는 중국공산당 이야기 당의 이념 흑묘백묘론을 내세운 덩샤오핑은 중국을 다시 실용주의 국가로 변모시켜 개혁·개방을 이끌었다. 사진은 덩 탄생 110주년을 하루 앞둔 2014년 8월 21일 광둥성...

[여시재는 지금] “동북아 ‘초국가 에너지망’ 구축 본격화할 때 됐다” - 여시재 주최 포럼서 각국 전문가들 제기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11.20

남-북-중-일-러와 몽골 6개국을 포괄하는 초국가적 동북아 에너지망 구축 논의를 본격화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국제포럼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석탄과 철강이 EU 통합의 매개가 된 것처럼 동북아 지역에선 전력망과 가스라인이 그 역할을...

[매경] ⑥ ‘시市·산産·학學’복합체-대량소비 메가시티론 한계…‘저비용 스마트시티’로 가야

매경취재팀| 2017.04.21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주간 인사이트] ‘85세 청년들의 사회’, 집이 병원이 된다.

이명호| 2018.08.16

문명의 변화가 환경을 바꾸고 변화하는 환경이 인체를 바꾸고 인체의 변화가 질병을 바꾼다. 질병은 1000년 단위로 축적되는 인체 DNA 변화와 환경요인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지금 인류는 문명사적 변화의 시대, 질병도 변하는 시대를...

[시사 인사이트] 에너지 전환, 100년 만에 찾아온 동북아의 기회이자 위기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1.30

2010년 이후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으로 미국과의 세계 패권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문제를 관찰하는 데 있어 무역분쟁 등 현재 벌어지는 상황도 중요하지만 지난 50~60년간 미국의 힘과 패권 유지의 주요 동력이...

[여시재 북리뷰] GDP는 죄가 없다, 다만 문제는 많다 - 다이앤 코일 「GDP 사용설명서」

이우정| 2018.10.12

지난주 통계청이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로 환산한 자료를 내놓았다. 1인당(대부분은 여성) 하루 평균 2시간 15분씩 일해서 연간 710만여 원(2014년)의 가치를 생산한다는 내용이다. 2014년 기준 최저임금의 약 2배 수준이며, 우리...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