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이슈브리프] 세계경제 위기와 일본의 통화·재정 정책

이지평| 2017.08.21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경제 위기와 각국의 대응 (3) 일본 - 세계경제 위기와 일본의 통화·재정 정책 저자: 이지평 (LG경제연구원) No.2017-043 여시재는 국내 5대...

베이다이허 회의를 통해 살펴보는 중국의 국가 전략

김윤진 선임연구원 · 우약영 연구원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9.26

매년 7~8월, 중국의 정세를 살피는 사람들은 베이다이허 회의(공식 명칭: 중공중앙하계판공제도) 소식을 기다린다. 1950년대부터 중국 당-국 최고 지도부는 여름철에 베이징을 벗어나,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베이다이허(北戴河)에서 함께...

[이슈리포트] 한일 공동 세미나: COVID-19 대응과 포스트 COVID-19의 과제

황세희 (미래디자인실장), 노조에 타마미 (SD)| 2020.09.15

- 프로젝트: 한일 글로벌미래대화 - 자료형식: 성과보고서 - 제목: Global Future Dialogue: Yeosijae x SSDP COVID-19 대응과 포스트 COVID-19의 과제 - 저자: 황세희 미래디자인실장, 노조에 타마미 솔루션...

[여시재는 지금] “지속가능성 없이는 사회도 대학도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 - 여시재, GEEF X AEARU 2019 프로그램 파트너로 참여

이윤서 SD| 2019.10.31

여시재가 10월 30일 연세대 서울캠퍼스에서 열린 GEEF(글로벌지속가능발전포럼) X AEARU(동아시아연구중심대학협의회) 2019 포럼에 프로그램 파트너로 참여, 세션 2개 중 하나인 을 주관했다. UN 사무차장을 지낸 김원수 여시재...

포럼 <AI 시대, 세계 안보의 길을 묻다>: AI의 위협에 대응할 글로벌 거버넌스를 향한 첫 걸음

태재미래전략연구원 글로벌거버넌스팀| 2024.04.04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4월 3일 서울 종로구 한일중3국협력사무국 컨퍼런스홀에서 포럼 <AI 시대, 세계 안보의 길을 묻다>를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지난해부터 진행해 온 AI 포럼 시리즈의 일환으로 대학, 지속가능성 주제에 이은 세...

[여시재는 지금] “제제 공조와 함께 인센티브 국제 공조도 필요하다”

관리자| 2018.11.19

여시재 포럼서 참석자들 공감 이광재 북 문제 풀려야 동북아 전체 문제도 풀린다 북한에 대한 제재 공조와 함께 인센티브 공조도 필요하다. 지난 18일 서울에서 (재)여시재 주최로 열린 변화 속의 한반도와 나비 프로젝트...

[이슈브리프] EU의 개발·협력의 추세와 과제: 이익을 위한 특혜에서 책임감 공유를 위한 인도주의 원조까지

도종윤 (제주평화연구원)| 2018.01.26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ODA 정책 (4) 유럽 - EU의 개발·협력의 추세와 과제: 이익을 위한 특혜에서 책임감 공유를 위한 인도주의 원조까지 저자: 도종윤...

[중앙일보] ‘중입자 미사일’ 암과 전쟁 20년 뒤 끝낸다

김유경|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6호(2020년 11월 둘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1.17

◆ 주간 총평 미국 대선 혼란 지속... 중국, 긴장감 유지... RCEP 출범 11월 3일 진행된 미국 대선 결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한 것으로 집계됐지만, 경쟁자였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선거 결과에 불복하는...

[여시재는 지금] “인공지능 전문가 7000명 부족, ETRI같은 AI연구소 설립하자” - 여시재 전문가 간담회서 ‘ICT 특수부대’ 창설도 제기

민경태 (한반도미래 PM)| 2018.12.07

고도성장기 한국경제는 섬유 신발 등 노동집약형 수입대체 산업을 거쳐 자동차, 기계, 화학, 조선, 중공업 등 대규모 설비산업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했다. 한국은 독일, 일본, 중국 등과 같이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에 속하지만 최근...

[중앙일보] 일본 약진의 비결 ‘조기승인제’ 원래는 한국 아이디어

장주영| 2017.10.10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는 지금] “민노총 설득해 원격 의료 할 때 됐다” “나눠먹기 전락한 20조 R&D, ‘제로’에서 재설계 필요” - 여시재 ‘미래산업 3차 토론회’

황세희| 2019.05.16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16일 바이오-헬스를 제 2의 반도체로 육성하겠다며, 연구개발(RD) 개편 및 규제 혁파 방안을 곧 발표하겠다고 했다. 바로 이날 (재)여시재는 생명과학 입국 실현을 위한 에코 시스템 구축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故 이병철 회장 자문한 日 하마다 박사와의 대화 “일본 정부가 수출을 실제 중단시키지는 않을 것” “한국 반도체가 피해를 입으면 주도권이 대만으로 갈 가능성은 있다”

황세희| 2019.08.05

(재)여시재는 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 및 일본자연에너지재단과 함께 7월 31일부터 이틀간 도쿄에서 한미일 협력의 지속가능한 번영과 미래를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했다(내용은 별도로 발신 예정). 여시재는 이 세미나와는...

[이슈브리프] 일본 아베정권의 대러시아 전략과 북방영토 문제

이종원 (와세다대)| 2017.01.12

제목: 일본 아베정권의 대러시아 전략과 북방영토 문제 저자: 이종원 (와세다대) No.2017-03 지난 2016년 12월 15~16일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방일해 아베(安倍晋三) 수상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푸틴 대통령으로서는 2005년...

[여시재 북리뷰] 유현준의 <어디서 살 것인가> 공원까지 30분 對 6~7분, 서울시민과 뉴요커의 차이

이관호 (SD)| 2018.09.13

이번 주에 고른 책은 방송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건축사 유현준의 어디서 살 것인가입니다. 89p를 보면 재미있는 사진 두 장이 나옵니다. 하나는 고시원의 방이고 다른 하나는 교도소의 독방인데요. 비슷함을 넘어서 교도소가 더 나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