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관호 (SD)
2018.08.23기본소득은 인간의 자유를 위한 것 한 사회의 모든 성원 개개인들에게, 다른 소득의 원천이 있든 없든, 아무 조건도 내걸지 않고, 현금의 형태로, 그것도 정규적으로 소득을 지급하는 것. 벨기에 출신 정치철학자 필리프...
정순우
2017.04.17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남기정
2017.01.12있을 것 같지 않은 일들이 일어나는 이른바 블랙스완(검은 백조) 현상은 2017년에도 핵심 키워드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영국의 브렉시트(유럽연합 탈퇴) 국민투표 통과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은 권위 있는 여론조사 기관들도...
매경취재팀
2017.04.10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임지영 (SD)
2020.06.11여시재는 해외 석학들과 COVID-19가 가져올 영향을 진단하고 변화된 세상을 전망하기 위한 글로벌 미래대화의 두 번째 순서로 5월 29일에는 영국 채텀하우스(영국 왕립 국제문제연구소)와 COVID-19 이후 국제질서와 미중관계를 주제로...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7.12.05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1) 미국 - 새로운 전쟁과 미국의 대응: 기술 우위 속에서 규범 확립 고심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62 여시재는...
관리자
2019.05.1616일 열린 (재)여시재 주최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3차 토론회에서는 생명과학 입국을 앞당기기 위한 다양한 정책제안들이 나왔다. 당장 시급하거나 하지 않으면 안될 것들이다. 참석자들은 우리 내부에 바이오-헬스...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01.12제목: 최근 러시아·일본의 밀월 행보: 전망과 의미 저자: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No.2017-02 러·일 관계개선의 추이와 특징 (1) 서방의 러시아 제재 상황 하에서 급격한 관계개선...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1.03◆ 주간 총평 쌍순환 발전 전략: 미국에 대항하는 중국의 장기 구상 10월의 마지막 주에도 미국과 갈등은 전방위적으로 맹렬하게 전개됐다. 중국은 26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된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제14차 5개년...
관리자
2016.09.30일본 국가전략 연구 2차 모임 - 참의원 선거 이후 정치구도와 정책 전망 발제자: 최희식, 국민대학교 교수 주제: 일본 국가전략 연구 - 정치파트 일시: 2016년 9월 27일 (화요일) / 16:00-18:00 사회자: 박영준, 국방대학교...
관리자
2017.07.17제조업 중심 생산체제의 쇠퇴, 사회 양극화 심화, 취약한 안전망 등 한국사회는 경제, 산업, 사회구조 전반에서 불안한 정체기에 놓여있다. 여시재는 이러한 정체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부문의 혁신과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7.10.24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1) 미국 - 아시아에서 악전고투하는 러시아의 대유라시아 구상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52 여시재는 국내 5대...
관리자
2018.08.23이제 곧 8월 중에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설치될 것이라는 소식이 들려온다. 한미간에 이견이 완전히 해소되고 있지 않지만 사무소 개소 자체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성공단 재가동은 현 상황에서는 거의...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2.22미-중, 포석 단계의 치열한 수싸움 2021년을 2주일 정도 남겨놓은 12월 셋째 주에도 미중 관계는 앞으로 두어 달 뒤에 본격적으로 시작될 중대한 관계 재조정을 염두에 둔 신중한 탐색전 양상이 지속됐다. 바둑으로 치면...
김성진 (덕성여대)
2017.05.29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2017년 개헌논의와 각국의 정치 체제 (4-2) 유럽 각국 - 트럼피즘과 주요 국가의 정치적 쟁점 저자: 김성진 (덕성여대) No.2017-19 여시재는 국내 5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