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이슈브리프] 유럽/EU의 농업정책: 공동농업정책(CAP)의 개혁과 새로운 식물배양기술 논쟁

김득갑 (연세대 쟝 모네 EU 센터)| 2017.12.2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농업 정책 (4) 유럽 - 유럽/EU의 농업정책: 공동농업정책(CAP)의 개혁과 새로운 식물배양기술 논쟁 저자: 김득갑 (연세대 쟝 모네 EU...

[시사 인사이트] 정치엘리트 양성과정 ① 미국 - 대학생 정치조직과 거대 규모 후원조직이 핵심

황세희| 2018.08.17

정치 격변기다. 전세계적 현상이다. 정치는 이런 것이라는 개념 자체가 흔들리고 있고 전복과 도전이 도처에서 벌어진다. 한국은 그 전면에 서 있다. 탄핵과 촛불집회라는 대중운동으로 정권이 교체되었다. 나아가 지금 벌어지는 특수...

‘니콜라’ 투자 열풍도 수소경제 수용성의 변수다

조성경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 2021.01.07

- 언론 보도로 살펴본 한국인의 수소경제 인식 - 모호한 개념 구체화할 일관되고 지속적인 소통 전략 필요 클린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를 놓고 불꽃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세계...

[혁신가 인터뷰 03] 이지현(생물학 분야 박사) - “여성이 제대로 일할 수 있어야 합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혁신가...

[여시재는 지금] “한국과 네덜란드 농업의 격차? 커도 너무 커” “네덜란드엔 ‘협력의 문화’가 있고 한국엔 없다” - 강호진 네덜란드 농무관, ‘여시재’ 4차 토론회서 ‘한국 농수산업’ 현주소 진단

관리자| 2019.05.30

주한 네덜란드대사관 강호진 농무관 이대로라면 100년 걸릴 것 주한 네덜란드대사관 강호진 농무관은 한국 대기업(롯데 중앙연구소)에서 10년 일하다 네덜란드 정부 공무원으로 11년째 일하고 있는 독특한 경력의...

[주간 인사이트 / 군대연구 ③] 전쟁 계획조차 독자적으로 만들지 못하는 한국군 - 미군과 영어로 전술 토론할 장교도 너무 부족하다

포스텍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국방연구팀| 2019.04.25

(사진: 대한민군 육군) 미래 한국, 열세국가 위협과 우세국가 위협에 동시 직면 미래 한반도 안보환경의 특징은 불확실성과 복합성의 심화다. 지금까지는 한미동맹을 주축으로 북의 위협에 대처하는 데 모든 역량을...

중국현대를 읽는 키워드 2 - 중앙외사공작영도소조

관리자| 2017.04.03

중앙외사공작영도소조 中央外事工作領導小組 요약 중앙외사공작영도소조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소속의 상설형 영도소조로, 외교와 국가안보 업무를 영도하는 비공식 의사협조기구(議事協調機構)다. 1958년에...

[주간 인사이트 / 무인기 개발 ③·끝] “나는 영혼 있는 연구자가 되고 싶다” - 국가 연구전략, 깊게 변화할 것인가? 아니면 천천히 죽을 것인가?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 (사)출연(연) 과학기술인협의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6.05

연재 순서 ① 창업 13년만에 100억달러 가치 중국 DJI, 기술 먼저 개발하고도 완전히 밀린 한국 드론산업 ② 미국 벨社 보다 뛰어난 성능 國産 틸트로터 무인기, 개발엔 성공 사업화엔 9년째 실패 ③ 나는 영혼 있는 연구자가 되고...

[토론회] “스마트시티 집중 연구할 국가주도 시스템 구축해야”

관리자| 2017.06.20

재단법인 여시재와 국회의원 연구단체 미래도시포럼, 연세대 도시공학과 등이 공동 주최하는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토론회가 지난 19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렸다. 본...

[이슈브리프] 미국 ODA 정책의 퇴보: 최대 공여국의 흔들리는 위상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8.01.16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ODA 정책 (1) 미국 - 미국 ODA 정책의 퇴보: 최대 공여국의 흔들리는 위상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8-006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 대담: 프랭크 자누지 맨스필드 재단 대표] “한반도 문제는 미국과 한국이 두 발 묶고 함께 뛰는 경주”

정리: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티테녹 안나 (여시재 SD)| 2020.11.17

- 바이든, (북에) 인내하겠지만 가만히 있지도 않을 것 - 동맹 중시하지만, 동맹에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는다 오판 말아야 - 중국 문제 해결할 묘책은 없어 .... 중국이 직면한 문제들의 해결책 제시하고 함께 성장하는 방법...

[중국의 변화 ④] 여시재-성균중국연구소 공동연구, 중국은 왜 AI에 높은 관심을 보이나? - 시진핑 “AI는 국제정치에 심대한 영향” “관건은 핵심기술장악”

성균중국연구소| 2019.02.08

AI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관심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국제정치와 글로벌 밸류 체인 판도를 일거에 바꿀 게임 체인저로 AI를 지목했다. 미국 등과의 미래 경쟁의 중심에도 AI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주간 인사이트] 빗물 요금제 시급히 도입해야 -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시, 땅이 말라 물과 대기순환 불균형 초래

최지용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 2019.02.21

우리나라는 지난 20~30여 년간 물의 경제적·생태적 중요성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높아지고,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제도들이 정비되면서 물 관리에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다. 공공 수역 수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뿌리 깊은 엘리트 의식에 젖은 대법원, 사법개혁이 검찰개혁 보다 중요”

김민하 (SD)| 2020.07.14

- 『헌법을 쓰는 시간』 저자 김진한 교수, 여시재 웹 세미나 헌법재판소 대심판정 (출처: 헌법재판소 홈페이지) 한국의 여론 광장은 황폐하다. 2016년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점점 심각해졌다. 최근 두 사람의 죽음...

[日의 對中 인식 ④·끝] 시진핑 정권의 국제질서관

가와시마 신 (川島真, 도쿄대 교수)| 2020.02.23

국제정치는 국제연합 중시, 국제경제는 자유주의 옹호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변화 미중관계의 미래에 대한 수많은 세미나와 심포지엄, 비공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