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이슈브리프] 유럽연합의 신안보 전략: 주요 내용과 쟁점

배병인 (국민대)| 2017.12.0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5) 유럽 - 유럽연합의 신안보 전략: 주요 내용과 쟁점 저자: 배병인 (국민대) No.2017-066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전문가 인터뷰 02] 배규식(한국노동연구원) - “현장에서부터 점증적 혁신 이루어져야”

정서은| 2017.09.21

혁신을 키우기 위한 정책제안 프로젝트 연구팀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의제를 구체화 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만난 분은 한국노동연구원 배규식 선임연구위원입니다. 배규식 연구위원께...

[혁신가 인터뷰 17] 이의헌(점프) - “새로운 일은 당연히 ‘전례’가 없기 마련입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시재 인사이트 / 미중 환율전쟁과 한국 경제] 국내 콜거래 60%를 중국계 은행이 차지 - 미중 환율전쟁 속 한국의 대중 금융의존도 낮출 대책 필요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리스크분석본부 신흥경제부장)| 2019.09.25

Citi(시티은행) 포치(破七)는 대미 무역 합의 기대를 중국이 상당 부분 버렸다는 의미 2019년 하반기 들어 미중 분쟁이 무역과 기술에 이어 환율 부문으로 확산되면서 전면전 양상을 보일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주간 인사이트] “치명적 자연재해가 준 선물, ‘협력의 DNA’가 네덜란드 만들었다” “정부 간섭 최소화, 대학∙기업∙주민이 일상적으로 협의하는 구조” - 네덜란드 과학혁신담당관 인터뷰

이명호| 2019.07.26

성공적 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요인 가운데 우리가 간과하는 부분이 하나 있다. 협력의 정신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따로 놀고, 기업과 대학이 먼 산 쳐다보듯이 하거나 성과를 빼앗으려는 문화로는 더 이상의 발전은 없다. ...

[혁신가 인터뷰 08] 한상엽(sopoong) - “창업을 의미있는 과정과 성장을 경험하는 포지티브섬 게임으로 만들어야”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덟...

[시사 인사이트] 더 많은 자유가 더 많은 평등인 시대가 온다 - 리눅스와 해커에 담긴 디지털시대의 ‘뉴 모럴’

관리자| 2018.09.21

영화 설국열차 속에서 최고의 가치는 엔진이다. 열차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은 엔진은 신성하며, 기차의 맨 앞칸에서 엔진을 조종하는 월포드는 위대하다고 세뇌당한다. 새로 찾아온 빙하기, 열차 안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새로운...

[전문가 인터뷰 04] 이재호(한국행정연구원) - “변화된 환경과 혁신생태계에 맞는 새로운 거버넌스 체계 필요해”

정서은| 2017.09.21

[전문가 인터뷰 04] - 혁신을 키우기 위한 정책제안 프로젝트 연구팀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의제를 구체화 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네 번째로 만난 분은 이재호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입니다....

[여시재는 지금] 한중 공동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우리는 신문명도시를 꿈꾸고 있다” - 반기문 총장 기조연설, 1,000여명 참석 디지털혁명의 미래 치열한 토론

관리자| 2018.11.04

여시재와 중국 칭화(淸華)대 글로벌지속가능발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본행사가 4일 베이징 캐피탈호텔에서 진행됐다. 한-중을 중심으로 미국과 EU 지역에서 온 전문가 등 1,000여명이 참석, 여러...

[중앙일보] 수소 혁명② 910℃에서 영하 180도로… 거칠게 다룬 천연가스에서 찾은 친환경 에너지

김도년| 2017.12.1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 인사이트 / 미·중 경쟁과 중간국가의 ‘생존전략’ ② 일본] 日의 궁극 목표는 ‘정상국가’가 아니라 ‘독자적 군사대국’ - 미국엔 완전 밀착, 중국은 철저 견제

이석수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2019.09.19

현재 미중 전략 경쟁의 성격에 관한 논쟁이 한창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신냉전으로 부르기도 한다. 두 강대국의 충돌은 구조적이고 전방위적이다. 그 사이에서 각국의 전략적 선택 공간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에 안보를...

[코멘터리]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협력을 추진해야 하는 이유

황세희| 2017.03.14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동북아 정세 변화와 일본사회의 대응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협력을 추진해야 하는 이유 저자: 황세희(여시재) No.2017-09 한일협력의 정체, 이대로...

[동북아협력 워킹페이퍼 #1] 동아시아 인프라 협력 현황과 과제

안병민 (한반도경제협력원장)| 2021.09.08

여시재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 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대표...

[이슈브리프 특별판] 러시아의 해양 정책: 21세기 해양강국으로 부활?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01.30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해양정책 (2) 러시아 - 러시아의 해양 정책: 21세기 해양강국으로 부활? 저자: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011 여시재는 국내 5대...

[주간 인사이트] “구글·페이스북·알리바바 자체가 ‘국가’인 시대” 글로벌 거대기업만을 담당하는 ‘기술(Tech) 大使’ 만든 덴마크

이상훈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부원장)| 2019.04.05

2019년 3월 22일 서울 스퀘어 WEWORK에서 주한 덴마크 대사관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강연 중인 캐스퍼 클링게 기술대사(왼쪽) 및 토론회 모습 駐在하는 곳은 실리콘밸리와 베이징 2019년 3월 21일 덴마크 서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