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Blessing in the end: 코로나 위기를 IMF 극복처럼 만들기 위해서는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전 KB증권 사장)| 2020.04.16

필자 전병조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미 아이오와大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제관료와 ADB(아시아개발은행) 이코노미스트를 거친 뒤 증권사(KB증권) 사장을 지냈다. 이론과 실물에 모두 밝은 이코노미스트다. 현재 (재)여시재...

[이슈브리프] 러시아 입장에서 신동방정책의 의미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2017.10.24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4) 러시아 - 러시아 입장에서 신동방정책의 의미 저자: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No.2017-055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학술기고] 한국의 사드배치 결정과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인식 변화 연구

관리자| 2017.08.02

제목: 한국의 사드배치 결정과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인식 변화 연구: 중국의 핵심이익 논쟁을 중심으로 날짜: 2017년 7월 15일 매체: 국방정책연구(한국국방연구원), 제33권 제2호, 2017년 여름(통권 제116호) 이번 연구는...

[칼럼] 한·중 ‘원칙 없는 주고 받기’ 안 통한다

관리자| 2017.06.04

중국 공세적 외교 본격화하며 한국의 전략적 회피 공간 줄어 제2, 제3의 사드 문제 생길 수도 국민 합의로 국익 우선순위 정해 다른 나라에 일관된 신호 보내야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문제로 급속히...

2022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백서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5.08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2022년 한 해 동안 진행한 연구 성과를 모아 2022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백서 를 펴냈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 고조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글로벌 지정학적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여시재 인사이트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3] 정부가 공공성으로 무장한 혁신가 집단이 되어야 - ‘정부 역할’ 점점 커지는데 그걸 감당할 공무원은 없다

김은환 (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1.18

(사진 출처: 중앙일보) 들어가는 글 축구를 회화에 비유해 보자. 반듯한 직사각형 구장은 캔버스, 저마다 개성을 지닌 선수들은 다양한 컬러의 물감, 그리고 선수들을 이끌고 다니는 공은 물감을 칠하는 붓이다....

[이슈리포트] 2019 FUTURE CONSENSUS DIALOGUE 성과 보고서

황세희| 2019.08.21

프로젝트: 2019 FUTURE CONSENSUS DIALOGUE 자료 형식: 이슈리포트 제목: 한미일 협력의 지속가능한 번영과 미래 저자: 재단법인 여시재 여시재는 2019년 7월 31일과 8월 1일 양일간, 도쿄에서 국제회의 2019 FUTURE CONSENSUS...

[이슈브리프] 러시아 신동방정책의 현재와 미래

이상준 (국민대 유라시아연구소 소장)| 2017.01.12

제목: 러시아 신동방정책의 현재와 미래 저자: 이상준 (국민대 유라시아연구소 소장) No.2017-01 러시아어로 극동은 멀고 먼 동쪽이다. 400km를 넘지 않으면 거리도 아니라는 러시아인들이멀고 멀다라고 표현하면 정말로 먼 곳이다....

[여시재는 지금 / 신문명도시] “이대로라면 스마트시티도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 “신문명도시 건설을 汎 아시아의 어젠다로 삼아야” - 여시재 베이징서 국제포럼 개최

서정일 (솔루션3팀장), 김범수 SD, 노윤호 SD| 2019.11.08

여시재는 지난 11월 2~3일 중국 베이징에서 한국과 중국·인도·EU 등 여러 나라의 정부 관계자 및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 포럼 신시대, 신문명, 신문명도시를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한국 측에서 반기문...

[주간 인사이트] 유권자 9억명이 전자투표하는 인도, 한국은 왜 하지 못하나?

신봉길 (인도 대사)| 2019.04.12

5년마다 실시되는 인도 총선이 11일 시작됐다. 인구 13억 5000만명 중 등록 유권자만 9억명이 넘는다. 투표 기간만 39일이고 투표소가 1백만 곳에 이르는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다. 유권자 9억명은 유럽이나 아프리카 전체 보다도 더 많다....

[이슈브리프] 미국의 통화정책의 변화와 경제 불안정성

박희경| 2017.08.21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경제 위기와 각국의 대응 (1) 미국 - 미국의 통화정책의 변화와 경제 불안정성 저자: 박희경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41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는 지금] “COVID-19라는 이름은 COVID-20 나온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 대비 서둘러야”

박설믜·임지영 (SD)| 2020.08.06

- COVID-19와 한국의 미래 3차 토론회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클라우스 슈밥 회장이 지난 7월 13일 펴낸 책 제목은 COVID-19: The Great Reset이었다. 이 표현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지금 이 시대의 혁명성을...

[세미나] 근로장려세제, 청년층으로 확대해 구조적 임금 불평등 해소해야

정서은| 2017.06.28

참석자: 청년유니온(김영민 정책팀장), 한국청년유권자연맹(김미진 사무총장, 복금희 교육부장), 청년참여연대(이조은 사무국장, 조희원 간사), 흙수저당(송명숙 정책팀장),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하준태 기획실장, 이택준), KYC(최융선...

[코로나 거버넌스 ① / 일본] “사회 안정을 위해 개인을 희생시키는 뿌리 깊은 시스템” ‘일본 코로나 수수께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3.27

필자 황세희 실장은 연세대(학사·석사)를 마치고 일본 게이오대에서 2012년 법학 박사학위를 받은 일본 전문가다. 전공분야는 일본 외교, 미일 동맹, 동아시아 안전보장, 해양 안전보장이다. 박사과정을 밟던 기간에 일본...

[이슈리포트] 2019 미래산업 토론회 보고서

황세희| 2019.08.26

프로젝트: 2019 미래산업 토론회 보고서 자료 형식: 이슈리포트 제목: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저자: 재단법인 여시재 파일 다운로드 2019 미래산업 토론회 보고서 다운로드(링크) 2019 미래산업 토론회 자료집...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