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정책토론회] 남북자원협력, 정치∙군사적 위기를 경제협력의 기회로

관리자| 2017.09.13

제목: 남북자원협력과 국가미래전략산업 정책토론회 일시: 2017. 9. 7. (목). 14:00 ~ 17:00 (3시간)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주최: (재)여시재 이광재 원장 정리 발언, 김경수 의원, 박재호 의원, 송기헌 의원, 이인영 의원,...

[르포-세계의 도시] ② 중국 선전 – 창업과 혁신의 도시로 발전한 작은 어촌 도시

관리자| 2017.04.24

세계 도시화의 현장을 둘러보는 르포-세계의 도시를 연재합니다. 현재 전 세계 도시화율(도시에 살고 있는 총 인구비율)은 54%. 그러나 기존의 도시들은 서구의 메가시티 식 일변도로 개발되어 오늘날 삶의 질이란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초일류 역량 확보 연구보고서] 초일류 국가를 위한 대학 혁신 전략

태재 아카데미 초일류 대학 연구팀| 2021.10.28

태재 아카데미는 미-중간 공존과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도할 정책 개발을 목표로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세계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부터 초일류 국가로 진화하는 것이 선행돼야...

[이슈브리프] 푸틴 대통령의 정책이 가진 불가피성: 1990년대 경험과 러시아 국가주의 부활

안드레이 란코프| 2017.09.22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고립주의와 민족주의의 전개 (4) 러시아 - 푸틴 대통령의 정책이 가진 불가피성: 1990년대 경험과 러시아 국가주의 부활 저자: 안드레이 란코프...

[주간 인사이트] 자유와 평등 - 유발 하라리와 빌게이츠는 왜 생각이 충돌하는가?, 디지털시대가 불러온 근대가치의 혼돈

이관호 (미래가치 SD)| 2018.10.19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평등은 사실로 존재하는 가치인가, 아니면 당위의 가치인가? 표현을 이렇게 바꿀 수 있다. 인간은 본래 평등하기 때문에 평등해야 하는가, 아니면 불평등하기 때문에 평등해야 하는가? 두 진술 각각으로부터...

[이슈브리프] 러시아 농업의 비상(飛上): ‘미운 오리새끼’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성원용 (인천대)| 2018.02.2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농업 정책 (3) 러시아 - 러시아 농업의 비상(飛上): 미운 오리새끼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저자: 성원용 (인천대) No.2017-070 여시재는 국내 5대...

[정책보고서] 북한의 지하자원과 남북자원협력

관리자| 2017.05.22

프로젝트: 통일한국의 지속가능한 신남북경협전략 제목: 북한의 지하자원과 남북자원협력 저자: 김진향 여시재 SD No.2017-14 북한의 지하자원 규모는 상당하다. 마그네사이트, 아연, 납은 매장량 기준 세계 3위 이내이며 텅스텐,...

[이슈브리프] 러시아의 신안보이슈

장덕준 (국민대)| 2017.12.0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4) 러시아 - 러시아의 신안보이슈 저자: 장덕준 (국민대) No.2017-065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공동기획으로 세계...

[북리뷰 / The World: A Brief Introduction] 美 외교협회장이 왜 지금, ‘미국인을 위한 국제관계 입문서’를 썼을까?

김민하 (SD)| 2020.07.31

디지털 리터러시 못지 않게 글로벌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The World: A Brief Introduction (PENGUIN PRESS NEWYORK / 2020) 디지털처럼 글로벌도 이해해야 하는 시대, 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책을 썼다 ...

[여시재 대화 / 과학사회학자 윤정로] “의학·과학 중심 범국가위원회 만들어 코로나 사태 대처해나가야”

이명호 (디지털플랫폼팀장) · 강동균 (SD)| 2020.03.26

전문지식이 신뢰받는 풍토 만들지 못하면 사회 전체 불행 과학(기술)사회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있다. 과학과 사회의 관계, 전문가의 사회적 역할을 파고들어가는 분야다. 바이러스가 사회 시스템 전체를 흔들어놓고 있는 코로나19...

[전문가 인터뷰 03] 이명호(여시재) - “R&D 정책, 질적 성장으로 전환해야 할 때”

정서은| 2017.09.21

혁신을 키우기 위한 정책제안 프로젝트 연구팀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의제를 구체화 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세 번째로 만난 분은 솔루션 탱크 여시재의 이명호 솔루션 디자이너입니다. ...

커촹반(科创板)을 통한 ‘기술-자본협력모델’이 필요하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2020.11.03

- 미중 전쟁과 과학기술 혁명시대의 한중 금융협력 cf. 커촹반(科创板-Sci-Tech Innovation Board: STAR Market)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기술·창업주 전용 주식시장. 우리나라 말로 과학혁신판이라 부른다. 커촹반은...

[혁신가 인터뷰 04] 안오성(항공기 엔지니어) – “과학분야 사업 지원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고, 리더십을 발굴해야 합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중앙SUNDAY] 중국 공산당의 미래

케리 브라운| 2017.01.12

1921년 창당된 중국 공산당의 역사는 이제 100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서구식 자본주의·민주주의가 거센 도전에 직면한 지금,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중국 공산당 일당 지배의 장수 비결이 궁금하다. 내년 가을...

[전망 2021 ① / 아키야마 마사히로 日 SSDP 대표] “스가 정부, 관료 중심의 실리주의 노선 취할 것... 외교 키워드는 국제공조”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노조에 타마미 (여시재 SD)| 2021.01.05

- 미중대립 속 한일 미들파워 협력 중요해져 - 국제 공조 통해 중국의 규범 준수 유도해야 코로나19의 혼돈이 여전한 가운데 새해를 맞았다. 팬데믹은 기존의 국제질서를 무너뜨렸지만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는 작업은 현재...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