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이슈브리프] 러시아 농업의 비상(飛上): ‘미운 오리새끼’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성원용 (인천대)| 2018.02.2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농업 정책 (3) 러시아 - 러시아 농업의 비상(飛上): 미운 오리새끼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저자: 성원용 (인천대) No.2017-070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 e핸드북 / 질병과 의료에 대한 쉬운 지식 ④] 2년 만에 0.3세↓, 미국인 기대수명은 왜 내려가고 있을까? - 100년간 눈부시게 발전한 현대의학, 이제 대변화의 지점에 다다랐다

여시재 미래의료 연구팀, 대표 저자 홍윤철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서울대 공공의료사업단장)| 2020.03.04

(재)여시재가 2019년 한해 진행했던 연구 결과물 발신을 시작합니다. 미래의료 중국의 변화 도시순환과 황해오염 디지털이 바꾸는 세상 등 다양한 분야입니다. 그 첫 번째로 미래의료 7편을 순차적으로 내보냅니다. 여시재는...

[정책보고서] 북한의 지하자원과 남북자원협력

관리자| 2017.05.22

프로젝트: 통일한국의 지속가능한 신남북경협전략 제목: 북한의 지하자원과 남북자원협력 저자: 김진향 여시재 SD No.2017-14 북한의 지하자원 규모는 상당하다. 마그네사이트, 아연, 납은 매장량 기준 세계 3위 이내이며 텅스텐,...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④] 내년 3~4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중대 고비... 북미대화 재개 위한 적극적 역할 필요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 2020.12.09

북, 비핵화 카드 통한 대미협상 끈 놓지 않을 것 도쿄·베이징올림픽, 동북아 평화 분위기 만드는 기회로 트럼프 집권 4년은 많은 것을 바꿨다. 미국의 대북 접근 방식에도 톱다운으로 이뤄지는 파격적인 전환이 있었다....

21세기 데이터 개항 시대의 디지털 통상 전략

조정희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2021.04.22

- 국가 간 디지털 통상 문제 증가... 협정 체결 통한 규율 확대 추세 - 갈수록 높아지는 데이터 자유화 요구, 각자도생 속 이해관계 합치 쉽지 않아 - 데이터 규제 강한 한국, 상대 국가의 데이터 확보·기술 수준에 따른 이중...

[여시재 대화 / 과학사회학자 윤정로] “의학·과학 중심 범국가위원회 만들어 코로나 사태 대처해나가야”

이명호 (디지털플랫폼팀장) · 강동균 (SD)| 2020.03.26

전문지식이 신뢰받는 풍토 만들지 못하면 사회 전체 불행 과학(기술)사회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있다. 과학과 사회의 관계, 전문가의 사회적 역할을 파고들어가는 분야다. 바이러스가 사회 시스템 전체를 흔들어놓고 있는 코로나19...

[성과보고서] 한일미래대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한일 협력

노조에 타마미 (여시재 SD)| 2020.12.21

여시재는 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와 한반도 및 동북아의 번영과 평화 구축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지난 2019년 여름 한일 갈등이 고조됐을 때에도 도쿄에서 양국 국회의원 및 석학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미나를 열고 한국과...

[여시재 대화 / 송희경 전 국회의원] “젊은 산업인들이 국회와 정부 이미 뛰어넘어, 정치인들만 그 사실 몰라”

김민하 (SD)| 2020.06.18

IT 전문가 출신 20대 국회의원이 21대 국회에 하고 싶은 말 20대 국회는 탄핵 국회였다. 반면 이번 21대 국회는 COVID-19 국회다. 그 성격과 과제가 극명하게 다르다. 건널 수 있는 다리가 필요하다. (재)여시재는 이런 시대적...

[혁신가 인터뷰 04] 안오성(항공기 엔지니어) – “과학분야 사업 지원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고, 리더십을 발굴해야 합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슈브리프] 푸틴 대통령의 정책이 가진 불가피성: 1990년대 경험과 러시아 국가주의 부활

안드레이 란코프| 2017.09.22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고립주의와 민족주의의 전개 (4) 러시아 - 푸틴 대통령의 정책이 가진 불가피성: 1990년대 경험과 러시아 국가주의 부활 저자: 안드레이 란코프...

[이슈리포트] 국가 R&D전략과 시산학 혁신체제

이명호| 2017.12.01

프로젝트: 미래 사회·도시 변화 제목: 국가 RD전략과 시산학 혁신체제 저자: 이명호 (여시재) 컴퓨터를 시작으로 인터넷, 인공지능까지 점점 빨라지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산업사회를 다시 한번 새로운 사회로 인도할...

[이슈브리프] 러시아의 신안보이슈

장덕준 (국민대)| 2017.12.0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4) 러시아 - 러시아의 신안보이슈 저자: 장덕준 (국민대) No.2017-065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공동기획으로 세계...

[정책토론회] 남북자원협력, 정치∙군사적 위기를 경제협력의 기회로

관리자| 2017.09.13

제목: 남북자원협력과 국가미래전략산업 정책토론회 일시: 2017. 9. 7. (목). 14:00 ~ 17:00 (3시간)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주최: (재)여시재 이광재 원장 정리 발언, 김경수 의원, 박재호 의원, 송기헌 의원, 이인영 의원,...

[전문가 인터뷰 03] 이명호(여시재) - “R&D 정책, 질적 성장으로 전환해야 할 때”

정서은| 2017.09.21

혁신을 키우기 위한 정책제안 프로젝트 연구팀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의제를 구체화 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세 번째로 만난 분은 솔루션 탱크 여시재의 이명호 솔루션 디자이너입니다. ...

[북리뷰 / The World: A Brief Introduction] 美 외교협회장이 왜 지금, ‘미국인을 위한 국제관계 입문서’를 썼을까?

김민하 (SD)| 2020.07.31

디지털 리터러시 못지 않게 글로벌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The World: A Brief Introduction (PENGUIN PRESS NEWYORK / 2020) 디지털처럼 글로벌도 이해해야 하는 시대, 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책을 썼다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