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 e핸드북 / 질병과 의료에 대한 쉬운 지식 ③] 질병도 문명 변화에 동행한다 - 1차 대전 후 콜레라 장티푸스, 2차 대전 후 홍역 볼거리 획기적 극복, 이제 만성질환 거쳐 알츠하이머와 우울증 사회로

여시재 미래의료 연구팀, 대표 저자 홍윤철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서울대 공공의료사업단장)| 2020.03.01

(재)여시재가 2019년 한해 진행했던 연구 결과물 발신을 시작합니다. 미래의료 중국의 변화 도시순환과 황해오염 디지털이 바꾸는 세상 등 다양한 분야입니다. 그 첫 번째로 미래의료 7편을 순차적으로 내보냅니다. 여시재는...

[전망 2020 ① / 경제]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올해 경제 작년보다 더 어려울 것” - “문 정부 깜깜절벽, 야당은 더 답답”

정리·이윤서 SD| 2019.12.24

중·일 경제 보복은 너무 늦게 오지 않은 축복 격차가 특권 만들고 특권이 기득권 강화하는 상황 깨야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2019년 한국 경제는 연초 전망했던 것보다 더 나빴던 것 같다며...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④] 내년 3~4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중대 고비... 북미대화 재개 위한 적극적 역할 필요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 2020.12.09

북, 비핵화 카드 통한 대미협상 끈 놓지 않을 것 도쿄·베이징올림픽, 동북아 평화 분위기 만드는 기회로 트럼프 집권 4년은 많은 것을 바꿨다. 미국의 대북 접근 방식에도 톱다운으로 이뤄지는 파격적인 전환이 있었다....

[한일 공존의 해법을 찾아서 ①] 새 시대를 위한 한일간 협력 전략 - 미중 대립구도 심화 속 한일협력의 필요성 높아져

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기주쿠대학 명예교수)| 2020.12.29

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SSDP), Security Studies 2020년 12월. Vol 2, No 4. 얼어붙은 한일 관계가 개선의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다만 한미일 삼각동맹을 강조해온 바이든 정부가 등장하고 코로나 극복을 위한...

[강연: 최경일 KTsat CTO] 저궤도 위성기술 동향과 한국의 가능성

노조에 타마미 (SD)| 2020.09.16

5G 통신이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면서 위성통신기술이 더욱 더 주목받고 있다. 5G 통신을 가능하게 만드는 저궤도 위성은 농촌, 사막, 바다 뿐만 아니라 북극 등 지구 상 모든 곳에서 인터넷 상용이 가능케 한다. 더군다나 앞으로 6G시대가...

[여시재 e핸드북 / 질병과 의료에 대한 쉬운 지식 ④] 2년 만에 0.3세↓, 미국인 기대수명은 왜 내려가고 있을까? - 100년간 눈부시게 발전한 현대의학, 이제 대변화의 지점에 다다랐다

여시재 미래의료 연구팀, 대표 저자 홍윤철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서울대 공공의료사업단장)| 2020.03.04

(재)여시재가 2019년 한해 진행했던 연구 결과물 발신을 시작합니다. 미래의료 중국의 변화 도시순환과 황해오염 디지털이 바꾸는 세상 등 다양한 분야입니다. 그 첫 번째로 미래의료 7편을 순차적으로 내보냅니다. 여시재는...

[이슈브리프] 유럽/EU의 농업정책: 공동농업정책(CAP)의 개혁과 새로운 식물배양기술 논쟁

김득갑 (연세대 쟝 모네 EU 센터)| 2017.12.2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농업 정책 (4) 유럽 - 유럽/EU의 농업정책: 공동농업정책(CAP)의 개혁과 새로운 식물배양기술 논쟁 저자: 김득갑 (연세대 쟝 모네 EU...

[주간 인사이트 / 디지털혁명과 신계급사회 ②] ‘과거의 성공’에 중독된 한국 사회와 한국 기업 - 반전과 역전의 시대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김은환 (저술가)| 2019.06.14

수저론, 헬조선, 사라진 개천 용 등 지금 한국 사회를 사로잡고 있는 키워드들은 신계급사회의 도래를 알리는 것처럼 보인다. 부와 권력의 불평등은 심화될 뿐 아니라 고착화된다. 이제 초입에 들어선 디지털혁명은 이 불평등을 1대 99의...

[여시재는 지금] ‘중국의 변화’ 보고서 1 완성

성균중국연구소| 2019.01.31

새로운 국력 평가 지표가 필요하다 - 하드파워 소프트파워 평가로는 중국은 미국 못따라가 -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미래를 설계하는 권력 평가기법 개발해야 미국과 중국의 무역-지식재산권 분쟁이 혼조를 거듭하고 있다....

[주간 인사이트 / 미·중 경쟁과 중간국가의 ‘생존전략’①] 호주 “미국을 완전히 믿지 않으며 중국엔 당당하다”

이석수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2019.07.31

미 국무부 스키너 정책기획국장은 미중 경쟁을 문명충돌로까지 묘사했다. 이 주장은 전문가와 여론의 뭇매를 맞았으나 그만큼 두 강대국의 충돌이 구조적이고 심각하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전방위적으로 치열하게 경쟁하는...

[여시재 인사이트 / 지속가능발전] 암스테르담과 기타큐슈, 정반대 경로 밟는 두 도시 이야기 - 순환경제 구축, 한국은 어느 경로를 따라갈 것인가

신상범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2019.09.17

(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우) 일본 기타큐슈 에코타운 자원 순환도시로의 전환은 필연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가 강조되고 있다. 순환경제란 생산 및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품, 그...

[여시재 미래디자인 시리즈] 디지털 화폐는 미중경쟁의 전장이 될 것인가

안유화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이왕휘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2021.01.18

미중 갈등의 양상이 무역 분야에서 기술, 금융 분야로 발전하면서 디지털 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시재에서는 갈등과 대립의 상황에서 미중 공존의 솔루션을 모색하고자 전문가들과 함께 디지털 화폐에 관한 연구를...

[여시재 대화 / 송희경 전 국회의원] “젊은 산업인들이 국회와 정부 이미 뛰어넘어, 정치인들만 그 사실 몰라”

김민하 (SD)| 2020.06.18

IT 전문가 출신 20대 국회의원이 21대 국회에 하고 싶은 말 20대 국회는 탄핵 국회였다. 반면 이번 21대 국회는 COVID-19 국회다. 그 성격과 과제가 극명하게 다르다. 건널 수 있는 다리가 필요하다. (재)여시재는 이런 시대적...

[여시재 인터뷰] “일본 보다 중국에 멱 잡히면 안 돼, 핵심 전략 기기는 국산화해야” -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우리는 거부하는 DNA, 고비마다 치고 나갈 힘 있다”

이윤서, 이한결| 2019.08.09

고단했던 산업화 60년, 길면서도 짧았던 이 나라 산업화의 여정이 중대한 고비에 처했다. 경제부총리를 지낸 이헌재 (재)여시재 이사장은 연초 올 한 해에 대해 전환기적 고통, 북한식으로 표현하면 고난의 행군을 해야 하는 한 해가 될...

21세기 데이터 개항 시대의 디지털 통상 전략

조정희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2021.04.22

- 국가 간 디지털 통상 문제 증가... 협정 체결 통한 규율 확대 추세 - 갈수록 높아지는 데이터 자유화 요구, 각자도생 속 이해관계 합치 쉽지 않아 - 데이터 규제 강한 한국, 상대 국가의 데이터 확보·기술 수준에 따른 이중...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