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전망 2019] ② 홍석현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脫냉전 후 한반도에 가장 중요한 해 … 정부는 느리더라도 신중하게 움직여야”

이대식 (연구조정실장), 이수민 (커뮤니케이션 SD)| 2019.01.04

脫냉전 후 한반도에 가장 중요한 해 … 정부는 느리더라도 신중하게 움직여야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만나준 자체가 큰 선물 … 김정은이 이제 응분의 결단을 할 때 됐다 2017년이 전쟁 위기에 휩싸인 한 해였다면...

[이슈브리프] 동방경제포럼과 일본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7.10.24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3) 일본 - 동방경제포럼과 일본 저자: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No.2017-054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중앙일보] 유도만능-배아줄기세포, 방법은 달라도 난치병 극복 목표 향하는 연구

장주영| 2017.10.12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왕선택의 미-중관계 위클리 19호] 평화적인 미중관계 재조정 가능성 커져 - 2021년 2월 둘째주 미중관계 위클리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2021.02.16

지난 2013년 중국 베이징에서 만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시 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출처: AFP) 2021년 2월 둘째 주, 드디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 통화를 갖고 주요 관심사에 대한...

[여시재 북리뷰] “빅데이터 시대를 준비하는 가장 유용한 책을 만나다” - 이토 고이치로, 「데이터 분석의 힘」

임선우 (디지털사회 SD)| 2018.11.30

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작년 한 해 세계 데이터 생산량은 16제타바이트(ZB, zettabyte)이며, 데이터 시장 규모는 약 1,508억 달러에 달합니다. 앞으로도 증가 그래프는 더 가팔라질 것입니다. 과거 경제적 가치가 없거나 제대로...

[중앙일보] 무한진화 AI 생태계 “한국은 쫓기는 토끼”

이창균| 2017.12.12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주간 인사이트] 그린란드가 中에 공항 건설 요청하자 美 매티스 국방장관이 직접 나서 저지 - 트럼프 ‘그린란드 사고 싶다’ 발언 배경엔 ‘中 자본의 북극 진출’이 있다

홍지영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2019.09.11

북극항로 (출처: 여시재 나비프로젝트 핸드북 2019,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작성) 그린란드는 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북극항로의 핵 얼마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여정의 부상은 ‘권력 위임’ 아닌 김정은 체제 강화”

정리: 박설믜 (SD)| 2020.10.19

[북한진단 2: 글로벌 언론인이 보는 북한과 한반도의 미래] (출처: 조선중앙TV 캡처, 뉴시스) 지난 10일 열린 북한의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눈물이었다....

국회 제출된 국가재정법 개정안, 시기상조다

장재철 (KB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 2020.08.25

지금은 재정 역할이 중요한 때, 준칙이 성장 투자 막아선 안돼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재정 역할 주목해야 2050년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지금보다 두 배로 확대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증가로 재정건전성...

[여시재 북리뷰] 『관자』 CEO형 시장주의자이자 균부를 중시한 계획경제가, 관중에게 길을 묻다 - 『관자』 김필수∙고대혁 외 옮김, 소나무출판사, 2015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9.05.03

관중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관포지교(管鮑之交)의 고사를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관중과 포숙아는 참된 우정으로 맺어진 친구임과 동시에 지금의 산둥반도에 위치한 소국이었던 제나라를 춘추시대 최고의 강대국 반열에 올려놓은 뛰어난...

[여시재 북리뷰] 뉴욕을 만든 사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시대를 연 사람 – ‘산업혁명의 숨은 주역’ 15인 이야기

이대식 솔루션2팀 팀장| 2019.10.02

벤저민 마셜, 뉴욕의 씨앗을 뿌리다 19세기 초 신생국 미국은 아직 농업국이었다. 미국은 면화 등 원자재를 영국으로 보냈고, 면직물 같은 공산품을 영국으로부터 들여왔다. 뉴욕과 리버풀 사이에는 5000 km의 대서양이 놓여...

[매경] ① 도시가 미래다-조선업 쇠락 극복한 빌바오市 도시재생

관리자| 2017.04.10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85세 청년들의 사회’를 위한 미래의료와 도시 연구 착수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1.09

65세 이상이 인구 구성의 40%를 차지하는 사회를 상상할 수 있을까?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14%다. 이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이슈브리프] 유럽/EU 신재생에너지 전략

이태동 (연세대)| 2017.11.0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에너지 정책 (5) 유럽 - 유럽/EU 신재생에너지 전략 저자: 이태동 (연세대) No.2017-061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공동기획으로 세계...

[이슈리포트] 아베정권하 일본 국가전략 변화와 차기 정부의 한일 관계 방향

관리자| 2017.05.16

프로젝트: 일본의 국가전략 제목: 아베정권하 일본 국가전략 변화와 차기 정부의 한일 관계 방향 저자: 박영준 (국방대)/ 황세희 (여시재)/ 최희식 (국민대)/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지희...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