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동북아협력 워킹페이퍼 #3] 동북아 도시개발 현황과 신규사업: 러시아 극동지역 및 북극항로

박진영 (서울주택도시공사 해외사업단장)| 2021.10.14

여시재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대표...

[이슈브리프] 유럽 극우주의 정당의 부상과 전망

고주현 (연세-EU 쟝 모네 센터)| 2017.05.29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2017년 개헌논의와 각국의 정치 체제 (4-1) 유럽 각국 - 유럽 극우주의 정당의 부상과 전망 저자: 고주현 (연세-EU 쟝 모네 센터) No.2017-18 여시재는...

[시사 인사이트] 미-중 ‘무역전쟁’ ‘기술전쟁’, 그 이면엔 ‘해군력 전쟁’ - 한반도 死活적 상황으로 가고 있다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2.07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은 무역 그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제적 타격을 중국에 가해 군사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며칠 전엔 중국 최대 기술기업 화웨이 창업자의 딸이자...

[강연] “도시의 진화를 고려한 스마트시티의 플랫폼이 중요”

관리자| 2017.04.18

제목: 스마트도시의 미래 일시: 2017년 4월 13일 오후 4시 참석자: 김동근 (POSCO AC 그룹장), 박귀찬(전 POSCO 인재창조원 원장), 김동건 (한샘UDM 상무), 이광재 부원장 4월 6일자 국내의 여러 신문에는 LH공사가 쿠웨이트에...

[동북아협력 워킹페이퍼 #2] 미중경쟁 2050과 동아시아 질서의 미래

손열 (동아시아연구원장)| 2021.10.01

여시재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대표...

[왕선택의 미-중관계 위클리 20호] ‘미국의 귀환’... 바이든, 다자무대 복귀 선언 - 2021년 2월 셋째주 미중관계 위클리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2021.02.23

지난 19일 바이든 대통령은 뮌헨안보회의(MSC)에 화상으로 참여, 미국의 국제 무대로의 복귀를 공식화했다. (출처: AP) 2021년 2월 셋째 주, 미국과 중국은 미국 시간으로 지난 2월 10일 두 정상 간에 1차 접전을 벌인 뒤, 중국과의...

[한일 공존의 해법을 찾아서 ②] 미중 대립의 시대, 미들파워 협력의 전략적 사고 - 미들파워 협력을 통한 지역 질서 유지... 미중 대립 구도 속 ‘헤지’ 전략

와타나베 츠네오 (사사가와평화재단 수석연구원)| 2020.12.29

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SSDP), Security Studies 2020년 12월. Vol 2, No 4. 여시재는 연구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SSDP)와 한일 양국 앞에 놓인 과제를 논의하고 미래지향적 관계로 나아갈...

[초일류 역량 확보 연구보고서] 초일류 역량 확보를 위한 한국 싱크탱크의 혁신과제

명지대학교 미래정책센터| 2021.12.01

태재 아카데미는 미-중간 공존과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도할 정책 개발을 목표로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세계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부터 초일류 국가로 진화하는 것이 선행돼야...

[중앙일보] 일본, 미국과 손잡고 2020년대 달 유인 탐사

오영환| 2017.11.29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 대화 / 강영철 전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장] “2013년 화장품 원료 규제 하나 바꿨더니 화장품 산업 전체가 성장했다”

이명호 (여시재 기획위원)| 2020.12.29

국가 주도 경제건설, 더 이상 맞지 않아… 규제 철학 자체를 바꿔야 경제도 성장한다 강영철 전 실장(좌)과의 인터뷰는 온라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해 진행됐다. 규제 개혁은 새로 들어서는 정부마다 사활을...

[혁신가 인터뷰 02] 홍성주(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연구개발계, 자율책임 체제로 재편되어야 합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혁신가...

[이슈브리프] 유럽의 싱크탱크가 본 한반도

고주현| 2017.06.16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한반도 인식 (5) 유럽 - 유럽의 싱크탱크가 본 한반도 저자: 고주현 (연세-EU 장 모네 센터) No.2017-27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여시재는 지금]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AI가 온다

이명호, 임선우| 2018.09.13

우리는 매일 매일 판단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며 산다. 흐린 날씨에 우산을 갖고 나갈 것인 가에서부터 지금 내 기분을 달래줄 어떤 음악을 들을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하면서 집을 나온다. 현실 세계는 복잡한 판단과 의사결정의...

[중앙일보] 한국은 황우석 사태 이후 겹겹 규제 … “연구자들 거의 포기 상태”

최준호| 2017.12.0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 대담 / 이헌재 - 오코노기 마사오] 이헌재 “일본이 경제 무기화 가능성 보여준 것은 큰 불행” 오코노기 “北 들어갈 때 한일협력 필수적”

황세희, 양보라| 2019.07.18

한-일 관계가 1965년 청구권협정 체결 이후 최대 위기 국면으로 빨려들어가고 있다. 역사 문제에서 비롯된 이견을 빌미로 일본은 전략물자 수출 문제를 끌어들였다. 이제는 동북아 분업구조 동요를 넘어 안보 문제로까지 치닫고 있는...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