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이슈브리프] 경제위기와 러시아의 통화·재정정책

이상준| 2017.08.21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경제 위기와 각국의 대응 (4) 러시아 - 경제위기와 러시아의 통화·재정정책 저자: 이상준 (국민대) No.2017-044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 북리뷰] 유발 하라리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 안나 카레리나가 AI에 물었다면?

이관호 (SD)| 2018.09.07

안나 카레니나가 스마트폰을 꺼내 들고 남편 카레닌 곁에 머물러야 할지, 돌진해 오는 브론스키 백작과 달아나야 할지 페이스북 알고리즘에 묻는 장면을 상상해보십시오. 디지털 시대를 맞아 인간은 의사결정의 자유를 AI에게 양도할...

[중앙일보] 섭씨 1억도 뿜는다 … 지름 30m ‘미니 태양’ 공정률 45%

최준호|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중앙일보] 알파고 제로 진화 “40일 만에 3000년 인간 지식 익혀”

이창균| 2017.12.12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중앙일보] 2030 화성탐사, 미ㆍ중ㆍ일 세계는 심우주로 달려가는데

이소아| 2017.11.29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중앙일보] 피부암 잡는 면역 항암제, 폐·간암 억제 ‘혈관 차단막’

김유경|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중앙일보] 수소버스 60대 달리는 독일, 공장 연료로 활용은 아직 멀어

김도년| 2017.11.20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 토론 / 에너지 전환기의 한국] 디지털 전환, 그리고 국제정치 관점에서 본 ‘에너지의 모든 것’

황세희| 2019.09.25

초연결이 큰 특징인 디지털 전환은 에너지, 특히 전기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아시아는 국가 간 에너지망 연계가 전무한 유일한 지역이다. 유럽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국가 간, 지역 간에 전기를 사고파는...

[중앙일보] “뇌 구조는 반도체 같은 회로 … 신경세포 지도 만들어 치매 치료 도전”

문희철| 2017.11.14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주간 인사이트] 싱크탱크의 나라 미국, ‘워싱턴 컨센서스’는 어떻게 구축되는가

관리자| 2018.10.26

미국은 싱크탱크의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전략에서부터 군사-안보 전략, 개별 산업전략까지 분야별 싱크탱크가 촘촘하게 역할을 하고 있다. 민간 싱크탱크에서 내놓은 정책제안이 국가정책으로 이어지는 일이 많고 인적 교류도...

[왕선택의 미-중관계 위클리 23호] 바이든 취임 첫 미중 고위급 회담... 양국 관계 영향 등에 주목 - 2021년 3월 둘째주 미중관계 위클리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2021.03.16

지난 12일 화상으로 열린 쿼드(Quad) 정상회의 모습. 화면 왼쪽부터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출처: 로이터) 2021년 3월 둘째 주, 미국과 중국은 관계 재설정과 관련해 중대...

[주간 인사이트] 국가 지능망 정비할 ‘데이터廳’ 신설이 필요하다 - 영국은 2011년 설치, 호주 싱가포르 등 주요국 속속 뒤따라가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9.04.12

우리나라가 자타 공인 정보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1990년대 말의 인터넷망 구축 때문이었다. 인터넷을 통해 향상된 정보 접근성은 ICT 기술발전의 촉매가 되어 전자정부 및 ICT 발전지수 세계 1위(16년, 국제전기통신연합)...

[이슈리포트] 현대 러시아 권력엘리트와 대외정책 결정과정 연구

장세호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2017.01.24

제목: 현대 러시아 권력엘리트와 대외정책 결정과정 연구 저자: 장세호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No.2017-04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012년 12월 국정연설에서 21세기 러시아의 발전 방향은 동쪽을 향하고 있다....

[시사 인사이트] 러-중의 프리모리예 프로젝트는 달릴 수 있을까

관리자| 2018.09.07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 3차 남북정상회담 일정이 9월 18~20일로 확정됨으로써 남북 관계 개선을 다시 한번 기대하게 되었다. 남북 관계는 비핵화와 떼려야 뗄 수 없다. 그럼에도 비핵화의 종속변수인 것만도 아니다. 우리...

[디지털화폐 패권경쟁 ②] 리브라의 전략 변화: 디지털 통화를 둘러싼 주요 쟁점은

발제: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20.10.12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초청 세미나 코로나19로 언택트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화폐 도입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최근 중국이 디지털 화폐 도입에 속도를 내면서 미중간 금융패권 경쟁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