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관리자 2018.11.04
여시재와 중국 칭화(淸華)대 글로벌지속가능발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본행사가 4일 베이징 캐피탈호텔에서 진행됐다. 한-중을 중심으로 미국과 EU 지역에서 온 전문가 등 1,000여명이 참석, 여러...
매경취재팀 2017.04.21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이명호 2018.09.07
인간은 도구를 만들고, 도구는 인간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구를 개발하고 사용하여 왔다. 돌을 던지는 것보다 더 정확히 상대를 맞추기 위하여 활을, 더 많은 것을 옮기기 위해 수레를, 더 잘...
관리자 2017.07.17
이슈리포트1. 한국사회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No.2017-034 이슈리포트2. 한국 혁신생태계의 혁신 방향 - 혁신가 FGI 분석 보고서 No.2017-035 제조업 중심 생산체제의 쇠퇴, 사회 양극화 심화, 취약한 안전망 등...
김도년 2017.12.1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박영준 (국방대) 2017.12.0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3) 일본 - 적극적 평화주의 국가의 군사화: 일본 아베정부 안보정책의 새로운 지평 저자: 박영준 (국방대) No.2017-064 여시재는...
성균중국연구소 2019.09.23
홍콩에서는 지난 6월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강행에 반대해 시민 100만 명이 거리로 나온 이후 지금까지 16주째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출처: AP 뉴시스) 9를 만나면 반드시 어지럽다 2019년에도 피하지 못한 중국의...
서정경 2017.09.22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고립주의와 민족주의의 전개 (2) 중국 - 부상하는 중국의 민족주의 그리고 미국음모론 저자: 서정경 (성균중국연구소...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8.12.21
북한의 개혁 개방은 동북아의 미래에도 직결 북 비핵화가 교착 국면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도 숱한 난관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을 어떻게든 비핵화와 경제개방의 길로 유도하는 것은 시대적 여망에...
문희철 2017.11.1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김유경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안병민 (한반도경제협력원장) 2021.09.08
여시재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 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대표...
김윤진 2019.04.02
대도시는 현대 산업문명의 산물이다. 대량생산 필요성이 사람과 물자와 서비스를 한 곳에 모이게 했다. 200여년 전 유럽에서 시작된 산업문명 기반 도시화는 바다를 건너고 대륙을 가로지르면서 점점 규모가 커졌다. 농촌의 도시화, 도시의...
관리자 2017.06.02
중국의 주변국에 대한 공세적(assertive) 대외정책이 부지불식간에 논쟁 수준을 넘어 현실이 되었다. 친밀(親)∙성실(誠)∙혜택(惠)∙포용(容)으로 대변되는 시진핑(習近平)의 주변국 외교 원칙은 의미 없는 외교적 수사로 전락한지 오래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뉴스레터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의 소식을 직접 받아보세요.